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롯데 제재 본격화…도 넘은 ‘사드’ 맹폭

등록 2017-03-01 21:01수정 2017-03-01 22:15

“롯데는 여전히 정상운영중” 글 나오자 폐쇄조처
관영매체 “롯데는 호랑이 앞잡이…환영 않는다”
‘보복 한계’ 지적에 “롯데는 안보 손해 끼친 기업”
'사드 반대' 등 손팻말을 든 시위대가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 시위하는 사진이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서 1일 화제가 됐다. ‘칭다오생활잡지’ 갈무리
'사드 반대' 등 손팻말을 든 시위대가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 시위하는 사진이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서 1일 화제가 됐다. ‘칭다오생활잡지’ 갈무리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부지 제공과 관련해, 중국에서 한국과 롯데를 향한 반발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롯데 제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본격화하는 모양새인데, 도를 넘고 있다.

중국 양대 온라인쇼핑몰 가운데 하나인 징둥을 비롯해, ‘와이마이’로 불리는 각종 배달 서비스에서 롯데마트 항목이 28일~1일 사이 돌연 사라졌다. 온라인쇼핑몰이나 배달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롯데마트가 판매하는 물품을 살 수 없게 된 셈이다. 온라인에서 ‘다른 데선 롯데 매장이 폐쇄됐는데 이곳은 왜 아직 운영중이냐’는 압박성 글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사드와 관련한 여론 압박에 따른 조처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또 이와 별도로 롯데그룹의 중국 누리집 주소(lotte.cn)는 28일부터 접속이 안 되고 있다. 롯데 쪽은 “바이러스를 이용한 외부 해킹 공격”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서는 1일 ‘칭다오생활잡지’라는 계정이 올린 시위 사진이 화제가 됐다. 시위대가 산둥성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 중국 국기와 ‘사드 반대’, ‘롯데 불매’, ‘한국산 불매’ 등의 손팻말을 들고 있는 사진이었다. 앞서 26일 지린성의 지린시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벌어졌다는 시위 사진도 주목을 끌었다.

블로그 매체 <야마재경>이 28일 오전 게시한 ‘롯데가 잘못을 거듭하는데, 징둥은 어쩔 것인가’라는 글이 중국 최대의 사회관계망서비스 웨이신에서 화제가 됐다. 같은 날 오후 징둥에서는 ‘롯데마트관’이 폐쇄됐다.
블로그 매체 <야마재경>이 28일 오전 게시한 ‘롯데가 잘못을 거듭하는데, 징둥은 어쩔 것인가’라는 글이 중국 최대의 사회관계망서비스 웨이신에서 화제가 됐다. 같은 날 오후 징둥에서는 ‘롯데마트관’이 폐쇄됐다.
중국 지린성의 지린시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26일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을 비판하는 이들이 시위를 했다. <봉황망> 갈무리
중국 지린성의 지린시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26일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을 비판하는 이들이 시위를 했다. <봉황망> 갈무리
중국의 ‘롯데 반대’ 움직임은 이처럼 일반시민들이 온라인 등을 통해 압박하고, 당국은 수수방관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겅솽 외교부 대변인이 28일 “외국 기업의 중국 내 경영이 성공할지 여부는, 최종적으론 중국 소비자들이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한 데서도 중국 정부의 태도가 엿보인다. 겅 대변인은 1일에도 ‘롯데 불매운동’ 등에 대한 질문에 “중국은 중-한 교류협력에 시종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하지만, 이는 민의의 기초와 여론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민들의 이런 움직임을 부추기는 데는 관영매체가 더 앞장서기도 한다. <신화통신>은 28일 “대체 어떤 나라 사람이 자기 나라에서 외국 기업이 돈은 가득 벌면서 해당국 국익에 손해를 주는 걸 용인하겠는가”라며 “중국 소비자도 국가 안보를 고려해 이런 기업(롯데)과 그 상품에 노(No)라고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경 여론의 선봉에 선 <환구시보>는 1일 사설에서 “소비자들은 한국 제재의 주력군이 되어 시장의 힘으로 한국을 징벌해야 한다”며, 롯데는 물론 중국 현지법인이 있는 삼성·현대차도 제재와 불매운동을 온전히 비켜가기 힘들 것이라고 위협했다.

중국 내에서도 이런 사드 보복 조처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일부 나오기는 한다. <봉황텔레비전>의 토론 프로그램 ‘시사변론회’에서는 1일 일부 출연자들이 ‘준단교’까지 거론되는 현 상황이 무리하다며, 중국에 한국은 ‘흔치 않은’ 파트너라고 자제를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목소리는 쏟아지는 재반론에 묻혀 중국에서는 제대로 부각되지 않고 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김은형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조수석에 해골 태운 ‘꼼수’…걸리면 68만원 벌금 1.

조수석에 해골 태운 ‘꼼수’…걸리면 68만원 벌금

나토 사무총장 “북한군, 러시아 쿠르스크 배치 확인” 2.

나토 사무총장 “북한군, 러시아 쿠르스크 배치 확인”

[영상] “더 걱정은 아이들이”…말레이 보건부 로제 ‘APT 주의보’ 3.

[영상] “더 걱정은 아이들이”…말레이 보건부 로제 ‘APT 주의보’

누가 티모테 샬라메야? 닮은꼴 대회에 ‘진짜’가 나타나자… 4.

누가 티모테 샬라메야? 닮은꼴 대회에 ‘진짜’가 나타나자…

‘최정예’ 북한군 파병 맞나…WSJ “키 작고 말라, 영양실조 반영” 5.

‘최정예’ 북한군 파병 맞나…WSJ “키 작고 말라, 영양실조 반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