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브리핑에서 이례적 ‘한국 책임론’
“북 미사일 사드 돕는다” 비판도
“북 미사일 사드 돕는다” 비판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중국이 그 원인의 일부가 ‘남북 갈등’이라고 지목하며 한국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라며, “중국은 조선(북)이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하고 발사를 진행한 데 반대한다”고 밝혔다. 겅 대변인은 주변 각국이 긴장 고조 행위를 자제하라고 주문하면서, 안보리가 이 문제를 다룬다면 “책임있고 건설적인 태도로 관련 토론에 참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관련 (제재) 결의안을 줄곧 전면적으로 완전히 이행했으며,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눈길을 끈 것은 겅 대변인이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근원은 조(북)-미, 조-한 갈등에 있다”고 한 대목이다. 중국 외교부는 평소 북핵 문제 관련 ‘중국 책임론’에 “북핵 문제의 기원은 북-미 갈등”이라고 반박해왔는데, 이날은 여기에 ‘미사일’과 ‘남북 갈등’이 더해진 것이다. 재차 확인을 요청하자 겅 대변인은 같은 발언을 되풀이하며, “이는 우리가 줄곧 유지해온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는 부분적이나마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책임이 한국에도 있다는 시각을 보여준다. 겅 대변인은 브리핑 뒤 일부 기자들에게 “지금 어떤 식으로 긴장이 고조되는지 알지 않나. 한쪽이 뭔가 하면 다른 쪽이 뭔가 하고, 끝이 없어 풀리지 않는 매듭 같다”고 말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한·미의 군사행위와 맞물린 군비경쟁의 한 부분이라고 본 것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결정에 동의한 한국 정부에 대한 불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북한이 한·미의 사드 배치를 돕는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조선이 고집스레 미사일을 발사하는 건 미·한이 사드 체계 배치를 가속화하는 데 한발 나아간 핑계를 제공해주며, 중국의 전략 이익에 손해를 준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