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외국기업들 중국서 줄줄이 철수

등록 2017-02-06 17:08수정 2017-02-06 21:07

혜택 줄고 법제 불명확…인건비 상승
“중국서 발전하려면 2·3선도시 가야”
5일 중국 허베이성 싱타이에서 열린 공개채용 박람회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이들이 일자리 정보를 꼼꼼이 살펴보고 있다. 싱타이/신화 연합뉴스
5일 중국 허베이성 싱타이에서 열린 공개채용 박람회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이들이 일자리 정보를 꼼꼼이 살펴보고 있다. 싱타이/신화 연합뉴스
세계 최대의 시장과 유리한 생산 여건을 좇아 앞다퉈 중국에 진출해 ‘세계의 공장’을 실현했던 외국기업들이, 이제는 중국을 떠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지난 3일 보도했다.

세계 최대의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인 시게이트는 지난달 쑤저우에 있는 공장을 닫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일본 전자업체 소니가 광저우에서 운영했던 합작기업(소니화난) 지분을 모두 매각했고, 영국의 소매업체 막스앤스펜서도 잇따른 손실 끝에 중국 내 매장을 모두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1979년 외국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중국에 진출했던 일본 가전업체 파나소닉도 2015년 중국 내 텔레비전 생산 라인을 중단시켰다. 이밖에 메트로, 홈디포, 베스트바이, 레블론, 로레알, 마이크로소프트, 샤프 등이 중국을 떠났다.

외국기업들의 잇따른 철수 배경으로는, 우선 중국 당국이 외국기업에 제공했던 혜택을 줄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94년 이후 외국자본을 유치한 기업에는 원래 33%인 소득세율 대신 15%가 적용됐지만, 2008년부터는 세법 개정으로 모든 국내·국외 기업에 25%가 적용됐다. 이는 중국이 성장하는 자국 기업들을 지원하려는 ‘불가피한’ 정책 변화이기도 하다.

법 체계가 불명확하고 그나마 해석이 일정하지 않은 것도 외국기업들의 중국 내 성장을 가로막는 원인으로 제시된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해 11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를 통과한 ‘사이버보안법’이다. 폐쇄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속에 외국 기술 기업들은 법안 개정을 요구했지만 당국은 끄덕도 않는다. 이밖에 인건비 상승이나 숙련인력의 부족 등도 외국기업의 진출을 저해하는 요소로 거론된다.

미국 상공회의소 회원사 532곳 가운데 4분의1가량이 지난해 말까지 중국을 떠나기로 결정했으며, 절반 가량은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옮길 계획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총타이룽 홍콩중문대 교수는 “현 단계에서 중국에서 발전을 도모하는 외국기업이 있다면, (덜 발전한) 2선, 3선 도시를 고려하라고 제안하고 싶다”고 말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 1.

캐나다·멕시코, 미국에 보복 관세 맞불…‘관세 전쟁’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2.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미 여객기, 충돌 직전 고도 높여…헬기는 규정 넘긴 높이서 비행” 3.

“미 여객기, 충돌 직전 고도 높여…헬기는 규정 넘긴 높이서 비행”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4.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5.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