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와 차이잉원 대만 총통의 전화통화가 미-중 관계와 양안관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면서 중국에서 거센 반발 여론이 일고 있다.
트럼프 당선자가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남중국해 군사시설 건설 등을 들어 “중국이 (이런 결정을 내릴 때) 우리에게 물어봤나?”라며 대만과의 전화통화에 대한 중국의 반발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한 데 대해, <환구시보>는 6일 군사전문가를 인용해 “미국은 한국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를 배치하겠다면서 중국 의견을 물었나?”라고 되받았다. 익명의 전문가는 이 신문에 “중국이 약한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 중-미 관계는 싸우지 않으면 교류가 안 되는 때도 있는 법이고, 트럼프는 전투를 좋아하는 사람이니 우리 한번 붙어보자”고 말하기도 했다.
미국과 대만에 대한 실질적 보복 조처도 거론된다. 스인훙 런민대 교수는 <포천>과의 인터뷰에서 “의심할 것도 없이, 트럼프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도전한다고 중국이 판단하면 중국은 매우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모든 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이 대북 제재를 완화해 북한에 경제적 활로를 뚫어줄 수도 있고, 남중국해 문제에서 지금까지처럼 ‘언어적 위협’에 그치지 않고 무력 대응에 나설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이 매체는 풀이했다.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중국이 손을 써서 대만이 외국과 맺고 있는 몇 안 되는 외교관계를 한두 나라쯤 끊어버릴 수 있으며, 무력대응 태세를 증강시킬 수도 있다고 위협했다.
중국 당국은 최대한 직접적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기존에 나온 왕이 외교부장 등의 말을 되풀이하면서 “전세계가 중국의 입장을 잘 알고 있고, 트럼프 당선자 쪽을 포함한 미국도 매우 잘 알 것”이라고만 말했다. 중국은 트럼프 당선자가 취임해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하기 전까진 공식적으론 일단 관망세를 취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트럼프 쪽의 추가 도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워싱턴 포스트>는 4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자 쪽이 공화당 후보로 확정되기 이전부터 차이 총통과의 통화를 조용히 준비하며 그 결과를 가늠해왔다고 전했다. 트럼프가 중국을 의도적으로 자극했다는 뜻이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