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탈원전 선언
‘전기사업법 개정’ 연내통과 추진
재생에너지 비중 4%→20%로 올려
정책 지속성·전력값 인상 과제 대만에서 원전 반대 목소리가 본격적으로 표출된 것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때부터였다. 대만 또한 일본과 마찬가지로 화산활동과 지진 등 자연재해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이 높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반면, 제1원전(진산)과 제2원전(궈성)은 모두 인구 밀집지역인 북부에 위치해 있다. 타이베이 중심부로부터 거리가 채 20㎞밖에 떨어지지 않는데도, 인근 지역에 제4원전 건설이 또다시 진행됐다. 2014년 대규모 반핵 시위 끝에 마잉주 총통은 거의 완성단계였던 제4원전의 공사 중단을 선언했다. 차이 총통의 새 정부는 이같은 여론을 등에 업고 ‘원전 제로’ 공약을 착실히 이행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태양광 발전을 10년 안에 24배 증가시키겠다는 등 장기적 이행이 보장돼야 하는 탓에 지속성을 의문시하는 이들도 있다. 이미 제4원전 공사가 중단되고, 제1원전 1호기 및 제2원전 2호기가 상태 악화로 가동이 중단되면서 이미 전력 부족이 시작됐다는 지적도 있다. 산업계는 전력 가격 인상을 우려한다. 정부가 태양광 발전 확대를 통해 창출하겠다는 10만개의 일자리도, 결국 민간 몫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전세계적으로는 독일이 오는 2022년까지 원전 17기를 모두 폐쇄하기로 하고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중국·인도 등은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 발전량을 늘리고 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