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구시보>가 14일 고고도비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지역으로 결정된 경북 성주군에 대한 제재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 매체는 이날 ‘성주군 제재를 준비하고 미사일로 사드를 겨냥하라’는 사설을 싣고, “성주군의 상품은 중국 시장에서 환영받아서는 안 된다. 이밖에 제재 범위를 경상북도까지 확대하는 것도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선동적 태도로 “이런 압력은 사드 배치에 대한 해당 군(성주)의 더욱 격렬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며 “이런 목적에 다다르지 못한다 해도, 우리는 한국이 사드 배치에 부응하는 것에 대한 거부 의사를 밝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남(중국)해 중재안 발표를 전후해 사드 배치를 발표하면서 미-한은 중국이 남(중국해) 문제에 붙잡혀 사드라는 두번째 전선에 응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 것 같지만, 이것은 완전히 잘못 생각한 것”이라며 “한국 일각에선 지난 2년 동안 서울이 몇 가지 문제에서 중국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사드 문제에서 빠져나갈 구멍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이것도 잘못 생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설은 “중국은 대북제재에 대해서도 현재 발생한 지정학적 효과를 사드 배치로 일어날 수 있는 후과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만약 조정이 필요하다면, 중국은 반드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대북제재 재검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사설은 “어떤 이들은 이것이 바로 평양이 바라는 것이라고 여기고, 실제 그럴 수도 있지만, 조선(한)반도의 일은 본래 극본이 없어서, 중국도 감독 구실을 꿈꿀 수만은 없다”면서 “조선(북)이 핵 실험을 했을 때 중국은 그에 대해 징벌했고, 한국이 사드를 배치하면 중국은 또 그에 대해 겸양을 떨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사설은 “과거에는 조선(북)의 미사일만이 한국을 겨냥했지만, 미래엔 북·중·러 3국의 미사일이 한국 경내 목표를 겨누게 될 것”이라며 “동북아 지역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한국이 첫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위협적 언사를 쏟아내기도 했다.
<환구시보>는 한-미의 사드 배치 결정 이튿날인 9일 사설에서도 사드 배치를 추진한 한국 정부 관계자 및 기관, 관련 기업에 대한 제재를 주장한 바 있다. 이날 중국 관영 언론들은 성주군민 및 한국 시민사회의 사드 배치 반대 시위를 비중있게 전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