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가뜩이나 역사문제 퇴행속
오바마 히로시마 방문으로
‘일본 피해’ 강조될까 불만
중 매체들도 비판보도 잇따라
오바마 히로시마 방문으로
‘일본 피해’ 강조될까 불만
중 매체들도 비판보도 잇따라
“미국 정부가 응당 중국 정부에게 설명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히로시마 평화공원 방문 결정과 관련해 미국 정부로부터 설명을 들었는가’라는 질문에, 오히려 되묻는 형태로 답변을 갈음했다. 중국 외교부가 내놓은 짧은 답변은 의도적으로 여러 함의를 담는 경우가 많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공식 확인은 않은 채 ‘설명해주지 않았다’는 답변과 ‘설명해야 하지 않느냐’는 중국 정부의 요구를 간접적으로 함께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신조 일본 정부가 역사문제에서 퇴행하는 모습을 보여왔는데,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으로 자칫 ‘일본의 피해’가 되레 강조될 수 있다는 중국 쪽의 마뜩잖은 속내가 은연중에 드러난 셈이다. 전날인 11일 루 대변인은 “일본이 다른 나라 정계 요인들의 히로시마 방문을 주선하는 것을 희망한다”면서도 “그 목적은 일본이 결코 군국주의의 길을 다시 걸어서는 안된다는 것과 일본 군국주의가 아시아 인민과 세계에 엄청난 재난을 초래했다는 것을 세상에 알리는 것이 돼야한다”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도 잇따라 비판적 보도를 내놓고 있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 출연한 일본 전문가 류화는 “일본에서 역사의 진상을 잘 모르는 이들이 편향되게 피해자 입장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데, 2차대전 시기 일본이 다른 나라에 초래한 재난과 같은 상황을 인식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구이융타오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부교수는 <니혼게이자이신문> 기고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이 정치적으로 이용돼선 안 된다”고 선을 그은 뒤, “일본 총리도 대학살이 일어난 난징을 방문해야 한다는 관점도 있다. 만약 실현된다면 역사인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커다란 한걸음을 내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