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중국 베이징의 외교부 청사에서 양자회담을 마친 왕이 중국 외교부장(오른쪽)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기자회견장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외교장관은 이날 한국과 미국에 6자회담 재개를, 북한에 추가도발 자제를 촉구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중국과 러시아의 외교장관이 29일 북핵 6자회담 재개 논의를 촉구하는 한편, 미국이 북핵을 구실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를 추진해선 안 된다고 촉구했다.
이날 오전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양자 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우리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 정세와 긴장 국면에 대해 논의했다”며 “북한의 행위를 구실로 지역 내 군사력을 증강하고 특히 미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의 위험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이런 (사드 배치) 움직임은 당사국이 필요로 하는 수준의 방어 수요를 넘어서는 것으로, 만약 (한반도에) 배치된다면 중국과 러시아 각각의 전략적 안보에 직접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반도 핵문제 해결을 위협할 뿐 아니라, 이미 불이 붙어 긴장된 상황에 기름을 끼얹어 반도의 전략적 균형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왕 부장은 또 “반도 핵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6자 회담을 재개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되고 계속 필요한 조건을 창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했다”고 말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동북아) 안전과 관련된 문제는 함께하는 형태로 공동으로 나서야만 해결할 수 있다. 우리는 미국과 한국도 이런 원칙에 따라 6자 회담 재개 문제를 논의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의 지난 28일 무수단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9일(현지시각) 이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소식통은 28일 “안보리가 이날 비공식 협의를 갖고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안보리는 이날 회의를 통해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채택하는 데 합의했지만, 중국이 본국과의 협의 시간을 요구해 실제 발표는 29일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리는 지난 15일 무수단 미사일 발사와 23일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 때도 언론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군 전략사령부는 28일 성명을 통해 “북한이 원산에서 무수단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두차례 발사했으며 초기 신호들을 보면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무수단 미사일은 북미에 위협을 제기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워싱턴/김외현 이용인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