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가전 ‘선진 브랜드’ 사재기

등록 2016-03-31 19:58수정 2016-03-31 21:39

메이디, 도시바 백색가전 인수
5473억원에 지분 80.1% 사들여
브랜드·5천개 지식재산권 챙겨

중 업체들, 국제경쟁력 강화하며
자국시장엔 ‘국산품 애용’ 강조
중화권 가전업체 국외기업 인수 사례
중화권 가전업체 국외기업 인수 사례
중국 전자기업 메이디(Midea)가 일본 굴지의 전자기업 도시바 백색가전 사업을 인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메이디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도시바의 백색가전 사업 자회사)의 지분 80.1%를 537억엔(약 5473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신화통신>과 <교도통신> 등 중국·일본 매체들이 31일 보도했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이라는 브랜드는 앞으로 40년 동안 메이디가 쓰면서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을 제조·판매한다. 메이디는 직원 전원의 고용을 승계하며 5천여개의 지적재산권도 넘겨받는다.

1968년 중국 광둥성에서 시작한 메이디는 직원 수 10만명, 지난해 매출 210억달러 규모의 대형 가전업체다.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영국 시장조사회사 유로모니터 자료를 인용해, 메이디가 백색가전 사업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대수 기준)이 4.6%로 세계 2위이며, 에어컨과 세탁기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팡훙보 메이디 회장은 “(중국) 내수시장에서 메이디가 가진 강점에 도시바의 브랜드와 인적 자원 및 기술이 보태져, 일본, 동남아 및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크게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 엘지 등 한국 가전업체들은 이번 인수 뿐 아니라 지난 1월 중국 하이얼의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 가전 분야 인수 등 중국 기업들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한국 상품들은 상대적으로 고사양·고가 시장에 자리매김한 덕에 중국 업체들이 미국·일본 업체를 인수한다 해도 당장 경쟁이 격화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국내 가전업체 관계자는 “국외 기업을 인수한 중국 업체들이 중장기적으로는 선진 브랜드의 힘과 프리미엄 상품을 다룬 경험을 흡수해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업체들은 대외적으로는 외국 기업 인수를 통해 몸집을 불리고 경쟁력을 강화하지만, 대내적으로는 자국 시장에 ‘국산품 애용’을 강조하는 양면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최대 스마트폰 업체로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해 가전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은, 지난 3월5일 양회 개막식에서 기자들에게 “정부가 강조하는 공급측 개혁이라는 것은 중국 기업이 수입품과 경쟁할 수 있는 상품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1.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2.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대만, 영상에도 하루 78명 숨져…아열대 덮친 북극한파 3.

대만, 영상에도 하루 78명 숨져…아열대 덮친 북극한파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4.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5.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