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공산당 총서기 자격으로 주리룬(왼쪽) 대만 국민당 주석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양당 현직 수뇌부의 회담은 6년만에 이뤄졌다. 베이징/EPA 연합뉴스
중-대만 6년만에 국공 수뇌회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공산당 총서기와 주리룬 대만 국민당 주석이 반일을 외쳤던 5·4운동 기념일인 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6년만에 ‘국공 수뇌회담’을 열었다. 시 주석과 주 주석의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며, 양당 현직 수뇌부의 회담은 2009년 후진타오 공산당 총서기와 우보슝 국민당 주석과의 회담 이후 6년 만이다.
시 주석은 “양안(중국-대만) 관계는 새로운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며 “양쪽이 손을 맞잡고 양안의 운명공동체를 건설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중국 <신화망>이 전했다. 시 주석은 이를 위해 ‘92컨센서스’(92공식) 및 ‘대만 독립 반대’라는 공동의 정치적 기초를 견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92컨센서스’는 1992년 홍콩에서 중국의 해협양안관계협회(해협회)와 대만의 해협교류기금회(해기회)가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각자의 해석에 따른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를 일컫는다.
주 주석은 ‘92컨센서스’를 견지하면서 대만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등 국제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 주석은 “국민당이 중국 대륙과의 점진적 통일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가입을 원한다는 대만 쪽의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고 홍콩 <봉황 티브이>는 전했다. 대만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창립회원국 신청 마감일인 지난달 31일 중국 쪽에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창립회원국의 지위를 얻지 못했다.
회담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 건설에 대한 대만 쪽의 참여 등 현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 주석은 3일 상하이에서 열린 제10회 국공논단 참석을 겸해 지난 1월 취임한 뒤 처음 중국을 방문했으며, 상하이에서 위정성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과도 회동했다. 이날 위 주석은 “기초가 흔들리면 천지가 진동한다”며 “이같은 기초가 없다면 양안 관계도 불안한 길로 되돌아갈 것”이란 표현을 써가며 대만 독립을 추구하는 세력을 향해 경고성 메시지를 보냈다. 위 주석의 발언은 지난해 대만 지방선거에서 독립 노선을 지향하는 민진당이 승리한 뒤 중국이 우려의 눈길을 보내온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을 끌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