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취업박람회 모습. 베이징/AFP 연합뉴스
지난해 절정이었던 중국 정부의 기술(테크)기업 규제가 청년 고용시장에 계속해서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당국의 규제는 다소 잠잠해졌지만 경기침체와 코로나19 봉쇄가 맞물린 상황에서 구직자의 어려움은 계속될 전망이다.
30일(현지시각)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해 시진핑 중국 주석의 기술기업 압박이 중국 경제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필요한 젊은이들의 일자리 위기를 확대시켰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2020년 말부터 주요 기술기업을 대상으로 규제를 강화해 왔다.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를 시작으로 검색 플랫폼 바이두,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등이 대상이 됐다. 중국 정부의 ‘빅테크 때리기’는 올해 5월 들어 류허 국무원 부총리가 “플랫폼 경제와 정보기술(IT) 기업의 발전이 필요하다”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다소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강력한 봉쇄 정책과 경기 둔화 등이 맞물리면서 청년 고용시장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해온 기술 기업들의 역할은 예전만 못한 상황이다.
대형 기술기업인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4월부터 6월까지 1만4000명 이상을 해고했다. 텐센트에서 해고된 모바일 게임 개발자 아만다(27)는 “텐센트조차 약한 경제를 헤쳐 나갈 수 없다면 다른 기업은 어떻겠냐”며 “내가 다음에 어디로 갈 수 있을까”라고 말했다.
이처럼 청년층에게 유망한 산업으로 꼽히던 기술기업의 문이 좁아지면서 청년 실업 우려가 나온다. 올해 중국의 노동시장에는 1100만명의 졸업생이 몰려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 기업이 더는 매력적인 일자리를 제공할 수가 없는 상황에서 실업률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말 12.3% 수준이던 중국 도시지역 16∼24살 청년층 실업률은 올해 7월 19.9%로 증가했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뤄웬은 <아에프페>(AFP) 통신에 “내 목표는 중국의 실리콘밸리인 선전에서 일하는 것이었지만 넉 달 넘게 구직을 하면서 더 작은 도시에서 더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당국의 기술기업 규제가 완화되기 시작한 올해 초가 경기침체와 맞물린 것도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규제가 촉발한 청년 실업이 중국 경제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냇웨스트 그룹의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인 류페이첸은 “제로 코로나 정책이 여전히 시행 중인 상황에서 더 많은 대학 졸업생이 노동인구로 진입하면 높은 실업률이 하반기에도 계속될 수 있다”며 “높은 실업률이 오래 지속되면 사회와 경제 상황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