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26일 미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한 중개인이 거래 현황을 살피고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규제당국의 전방위적 압박 속에 지난해 7월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중국 기업의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 진출이 재개될 조짐이다.
15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를 종합하면, 최근 몇 주 동안 적어도 6개 중국 기업이 뉴욕 증시 상장을 위한 서류를 제출했다. 통신은 업계 관계자의 말을 따 “이들의 기업공개 규모는 100만달러에서 3500만달러로 상대적으로 작다”며 “중국 기업들이 여전히 해외 상장과 관련한 새 규정이 보다 분명해지기를 기다리는 모양새”라고 전했다.
앞서 중국 최대 차량 공유 플랫폼 기업 디디추싱은 약 40억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지난해 6월30일 뉴욕 증시를 통해 기업공개에 나섰다. 당시 데이터 보안 문제 등을 이유로 상장 중단을 요구했던 중국 당국은 상장 직후 대대적인 압박에 나섰고, 폭등했던 주가가 폭락세를 이어가면서 결국 업체 쪽은 같은 해 12월 상장 폐지를 결정한 바 있다.
통신은 “지난해 들어 7월까지 중국 기업들이 뉴욕 증시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모두 128억달러 규모에 이른다”며 “하지만 디디추싱 사태 이후 당국이 모든 해외 기업공개에 대한 조사를 대폭 강화하면서 중국 기업의 해외 증시 상장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전했다.
실제 중국 당국은 제도를 고쳐 규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마련해 시행에 들어간 새 규정에 따라 사용자 규모가 100만명이 넘는 모든 플랫폼 기업은 국외 증시 상장에 앞서 데이터 보안 점검을 받아야 한다. 중국증권관리감독위원회 쪽도 국외 상장 심사 조건을 강화하는 쪽으로 제도 개선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통신은 “그럼에도 일부 소규모 중국 기업들은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거나 국가안보 관련된 기업들의 해외 상장을 가로막는 새 규정이 자신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는 3월 첨단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을 통해 1500만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라는 한 중국 기업인은 통신에 “새 규정이 소형주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정보·통신 기반 업체에 대한 중국 규제당국의 공세가 누그러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통신은 업계 관계자의 말을 따 “현재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 규모가 워낙 작아서 조만간 해외 상장 관련 규정이 완화할 것으로 보긴 어렵다”며 “특히 회원수 100만명이 넘는 기업의 데이터 안전 점검을 비롯해 새 규정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짚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