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베이징에서 속개된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9기 6중 전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중국에서도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이뤄지는 첫 미-중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는 ‘대만’이 될 것이지만, 관계 복원을 위한 똑 부러진 돌파구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진찬룽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15일 인터넷 매체 <직신문>(直新闻·즈신원)과 한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 전망에 대해 “현시점의 미-중 관계엔 양면성이 존재한다”며 “회담 결과도 이 두가지 측면이 두루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진 부원장이 양국 관계의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꼽은 것은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의 귀국 △미 상무부의 중국산 수입품 일부 품목 관세 면제 움직임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미-중 공동성명 발표 등이었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 중-미 관계와 관련해 신냉전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고,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조관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의 변화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는 점을 강조했다. 두 발언 모두 양국 관계 복원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중국 통신기업을 퇴출시키고, 통신망 안전을 위해 화웨이와 중싱통신(ZTE) 등을 배제하는 등 여전히 엄중한 측면도 있다”며 “특히 대만 문제를 두고 양국 간 갈등의 수위가 높아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양국 정상은 협력할 수 있는 부분과 다툼이 생길 수 있는 부분, 국제사회에서 양국이 감당해야 할 책임 등 세가지 부분으로 나눠 회담에 임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회담의 주요 의제로는 ‘대만 문제’가 될 것이란 견해가 압도적이었다. 신창 푸단대 미국학연구소 부주임은 관영 <환구시보>에 “미국은 그간 대만해협에서 여러 움직임을 보여왔다”며 “미국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중국은 대만 문제를 반드시 거론할 것”이라고 말했다. 뤼샹 중국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연구위원도 “이번 회담에서 (대만 문제와 관련해) 한편으론 미국 쪽에 큰 방향성을 제시하고, 다른 한편으론 넘어서는 안 될 최저선을 확실히 그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날치 사설에서 “중·미가 함께 대만 독립을 억제하는 것이 향후 양국 관계 복원의 열쇠가 될 것”이란 주장을 내놨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