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미군 주둔했던 아프간 바그람 공군기지, 중국에 넘어갈까?

등록 2021-09-08 14:52수정 2021-09-08 14:58

“중국 바그람 기지 진출” 보도 잇따라
아프간 주둔 미군 최대 기지 ‘상징성’
중, 영향력 확대…‘미국의 실패’ 부각 노림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약 45km 떨어진 바그람 공군기지에서 미군이 지원한 엠아이(MI)-17 헬리콥터를 아프간 육군 항공대 조종사가 착륙시키고 있다. 미 국방부 제공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약 45km 떨어진 바그람 공군기지에서 미군이 지원한 엠아이(MI)-17 헬리콥터를 아프간 육군 항공대 조종사가 착륙시키고 있다. 미 국방부 제공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최대 기지이자 작전 운용의 심장부였던 바그람 공군기지가 중국 쪽에 넘어갈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현실화하면 격화하는 미-중 전략경쟁 속 ‘미국의 실패’를 부각시키는 상징이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8일 <유에스뉴스 앤드 월드리포트>(이하 <유에스뉴스>)의 보도를 종합하면, 중국 군당국은 향후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사업에 따른 해외 투자계획과 관련해 바그람 기지에 노동자와 병력, 지원인력 등을 파견하는 문제를 두고 타당성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수도 카불에서 북쪽으로 약 45㎞ 떨어진 바그람 기지는 지난 20년 동안 아프간 주둔 미군의 최대 기지였다. 지난 1979년부터 아프간과 10년 전쟁을 벌였던 옛 소련군도 바그람 기지를 근거지로 삼았었다. 미군은 철군을 앞둔 지난 7월2일 해당 기지의 지휘권을 아프간 정부군에 넘겼으며, 지난달 15일 아프간군의 항복으로 탈레반 수중으로 넘어갔다.

<유에스뉴스>는 내부 소식통의 말을 따 “중국의 바그람 기지 진출이 임박한 것은 아니며, 현실화하더라도 최대 2년여가 소요될 것”이라며 “또 기지를 통째로 장악하는 것보다는 탈레반 정권의 초청에 따라 필요한 인력과 장비 등을 보내는 형식을 취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 매체는 “과거의 경험에 비춰, 중국은 미국이 바그람 기지에 남기고 간 것들을 기꺼이 손에 넣으려 할 것”이라며 “바그람 기지 진출을 통해 중국은 역내 영향력 확대를 위한 거점 마련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위상에 결정적 타격을 입힐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앞서 중국의 바그람 기지 장악을 처음 경고한 것은 니키 헤일리 전 유엔 주재 미국 대사다. 헤일리 전 대사는 지난 1일 <폭스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바그람 기지와 관련한 중국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며 “중국이 아프간에서 파키스탄과 협력해 인도에 대한 공세의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도 매체 <파이오니어>가 지난 6일 “탈레반이 미군이 사용했던 바그람 공군기지는 중국 쪽에, 칸다하르 기지는 파키스탄 쪽에 넘길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매체는 내부 소식통의 말을 따 “파키스탄 공군 소속 항공 기술진이 칸다하르, 바그람, 카불 등 5개 공군기지에 대한 점검을 하고 있다”며 “중국 쪽도 탈레반 고위급과 접촉해 바그람 공군기지 사용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안보 관련 논의를 했다”고 전했다. 특히, “미국이 아프간에 두고 간 각종 항공기와 헬리콥터는 200여대에 이른다”며 “탈레반이 중국-파키스탄과 협력을 하게 되면 미군이 남기고 간 군사장비가 중국 쪽으로 넘어갈 수 있고, 중국이 이를 분해 조립하는 방식으로 자국 국방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가짜 뉴스일 뿐”이라고 말을 잘랐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