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부 저장성 항저우시의 저우장융 당비서가 지난 2019년 10월1일 국경절 기념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그는 지난 21일부터 기율당국의 감찰조사를 받고 있다. 항저우/AP 연합뉴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본사가 위치한 동부 저장성 항저우발 ‘반부패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현지 사정당국이 사실상 고위 관료 전원을 상대로 기업 관련 이해충돌 문제에 대한 전면 조사에 나서면서, 파급이 저장성은 물론 여타 지역까지 확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24일 <중국중앙방송>(CCTV)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항저우시 기율검사위원회는 “당국과 기업 간 가깝지만 투명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위 공직자를 대상으로 이해충돌과 관련한 자체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조사 대상자는 최근 3년 내 퇴직자를 포함한 고위 관료 2만4839명이다. 또 이들의 배우자와 자녀, 배우자의 자녀가 일하는 기업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방송은 “항저우 사정당국은 모두 10개항에 이르는 이해충돌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했으며, 공직자 개인이 자체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도록 했다”며 “문제가 있으면 고치고, 처리 결과를 3개월 안에 보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자체 조사가 종료되면 조사 대상 가운데 적어도 10%에 대해 사후 재조사를 벌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항저우시 권력 서열 1위인 저우장융 당서기가 지난 21일부터 “기율과 법률을 엄중히 위반한 혐의”로 중앙기율감독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 저우 서기는 시진핑 주석의 집권 2기 문을 연 2017년 제19차 당대회 이후 부패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된 최고위직이다.
내년 가을 당대회에서 3연임을 염두에 두고 있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내세운 ‘공동부유’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럴 경우 항저우에서 시작된 ‘셀프 반부패’ 바람은 저장성을 넘어 상대적으로 부유한 여타 지역까지 번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실제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항저우시의 이해충돌 자체 조사와 관련해 “시진핑 주석이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이자 중국 현대화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강조한 ‘공동부유’ 달성을 위한 시범지구인 저장성 공직 사회 전체에도 경고 신호가 될 것”이라며 “항저우가 여타 부유한 지역의 공직사회에도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장성은 지난해 중국 31개 성급 지역(성·시·자치구)의 지역총생산(GDP) 순위에서 광둥·장쑤·산둥성에 이어 4위(6조4613억위안)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3.9% 성장하며 도시별 지역총생산 순위에서 8위(1조6106억위안)에 오른 항저우는 저장성 총생산의 약 4분의 1을 떠맡고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