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전격 자진해산을 선언한 홍콩 범민주파 야당인 신민주동맹의 로고. 누리집 갈무리
홍콩의 범민주파 야당인 신민주동맹(ND)이 전격 자진해산을 발표했다. 오는 30일 홍콩판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1주년을 앞두고 홍콩 범민주 진영의 위축세가 가속화하는 모양새다.
27일 <홍콩방송>(RTHK)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신민주동맹은 전날 오후 6시께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공식 계정을 통해 “소속 구의원 전원회의를 통해 당 해산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신민주동맹 쪽은 “지난 2년여 사이 홍콩의 상황이 급격히 변했고, 이전에 견줘 정치 환경이 크게 악화했다”며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일부 구성원이 투옥됐고, 선출직 공직자에게도 당국에 대한 충성서약이 강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홍콩 경찰은 지난 2월 말 범야권이 지난해 7월 실시한 입법회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자체 경선을 문제 삼아 범민주파 정치인과 활동가 47명을 홍콩보안법 위반(체제전복)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당시 개리 판 등 신민주동맹을 대표하는 정치인 3명도 구속·수감됐으며, 이들은 곧바로 탈당을 선언했다.
신민주동맹은 지난 2010년 10월 최대 야당인 민주당 탈당파를 중심으로 창당한 정당이다. 범민주 진영의 일원으로 지난 2015년 구의원 선거 당시 16명이 출마해 15명이 당선되면서 여론의 집중적인 관심이 끌기도 했다. 이어 송환법 반대 시위 열풍 속에 치러진 지난 2019년엔 구의회 의석을 19석까지 늘렸다.
70%가 넘는 역대 최고 투표율 속에 치러진 당시 구의회 선거에서 홍콩 범민주 진영은 전체 452석 가운데 392석(86.7%)를 확보하는 압도적 승리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홍콩보안법 시행을 전후로 범민주 진영을 겨냥한 압박이 강화하면서 의석 대부분을 잃은 상태다.
실제 민주당과 함께 홍콩 범민주 진영의 양대 정당인 공민당 쪽은 ‘충성서약’ 등을 이유로 현역 의원의 탈당이 줄을 이으면서, 지난 20일을 기준으로 32석이던 구의회 의석이 단 5석까지 줄었다. 신민주동맹 쪽도 당시 당선된 구의원 가운데 해산 직전까지 당에 남아있던 이들은 8명에 그친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