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왼쪽)이 23일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만나고 있다. 자카르타/AFP 연합뉴스
50년 전 이맘때 미국은 아시아에서 연속적인 군사적 낭패를 겪었다. 1968년 1월23일, 83명이 탄 첩보함 푸에블로호가 북한군에 나포돼 원산항으로 끌려갔다. 일주일 뒤에는 베트남전의 전환점이 된 북베트남과 베트콩(베트남민족해방전선)의 ‘구정 대공세’가 시작됐다.
푸에블로호 사건 때 핵무기를 사용한 반격까지 고려한 미국은 지금도 북한과 핵공격 위협을 주고받지만 베트남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구정 대공세 50돌을 앞두고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이 군사 협력 강화를 위해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양국의 밀착이 두드러지고 있다. 매티스 장관은 22~23일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뒤 베트남으로 향한다. 그는 동행한 기자들이 구정 대공세 50돌 직전임을 환기시키자 “그건 대체로 과거의 일”이라며 베트남 쪽과 과거 얘기를 꺼내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매티스 장관은 베트남전 때 해병대에 입대했으나 참전하지는 않았다.
1968년 2월, 베트남의 고도 후에에 주둔한 미군이 베트콩의 ‘구정 대공세’에 맞서 교전하고 있다.
구정 대공세는 북베트남과 베트콩이 설 축제 분위기를 틈타 남베트남의 100여개 도시에서 봉기한 것으로, 게릴라가 사이공의 미국대사관 경내까지 침투해 미국에 충격을 안겼다. 베트남 주둔 미군 사령관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가 “전쟁이 언제 끝날지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했다”고 말한 지 불과 두 달여 뒤였다. 구정 대공세는 결국 격퇴당했지만, 이를 기점으로 반전 여론이 비등하고 미국은 군사적 자신감을 상실했다.
이런 과거사를 묻고 매티스 장관이 인도네시아에 이어 베트남을 방문하는 것은 중국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중국과 갈등에 빠져 있고, 특히 1979년 중국과 전쟁까지 치른 베트남은 강대국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을 이용하려 한다. 미국은 2016년 베트남에 대한 무기 금수를 해제했다.
이번 방문은 매티스 장관이 19일 발표한 ‘2018 국방전략 보고서’에서 중국을 “남중국해 지형을 군사화하면서 이웃 국가들을 협박하기 위해 약탈적 경제를 사용하는 전략적 경쟁자”라고 규정한 직후에 이뤄지는 것이다. 매티스 장관은 “작은 나라도 큰 나라와 같은 존중과 배려를 받아야 한다. 모든 나라가 중요하며, 서로 위협하거나 신뢰를 파괴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중국과 맞서는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지지 표명이다.
베트남은 남중국해를 놓고 중국과 가장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고, 인도네시아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요로에 있다. 두 나라는 미국과 군사동맹을 맺지는 않았지만, 미국과 일본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고 만든 구상인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지리적으로 중간에 해당한다. 하와이 아시아태평양안보연구소의 알렉산더 뷰빙은 “중국에 가장 큰 악몽은 미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가 연합하는 것이며, 이 네 나라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지역의 부상하는 파트너들과 어떻게 연계하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라고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에 말했다. 매티스 장관은 인도네시아 국방장관과의 회담 뒤 이 지역에서 “해양의 중심”이 되고자 하는 인도네시아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22일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누구도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는 양안 정책 결정권자들이 이성적인지 여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본영 기자,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