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정이 국제사회의 제재가 차별적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타이, 파키스탄 등 ‘친미’ 성향의 군정에 비해 자신들이 받는 제재는 가혹하다는 주장이다.
군정의 정보장관인 챠우 산 준장은 지난 3일부터 미얀마를 방문 중인 이브라힘 감바리 특사에게 “미얀마의 정치가 유엔 안보리가 나서서 다룰 일이라면, 미얀마와 같거나 더 열악한 수준의 나라들에 대해서도 안보리는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관영 <뉴라이트오브미얀마>가 7일 보도했다.
산 장관은 “남아시아나 동남아시아에도 무장 군인이 정권을 빼앗아 여전히 계엄 아래 놓인 나라도 있다”며 “시위 진압으로 수백명이 죽어가는 곳도 있고, 사원을 급습해 어린이를 포함한 수백명을 내쫓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타이와 파키스탄을 지칭한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은 분석했다. 타이 군부는 지난해 9월 쿠데타를 일으켜 탁신 시나와트라 총리를 몰아내고 집권했다.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이 이끄는 파키스탄 군정은 지난 7월 랄마스지드(붉은 사원) 시위에 무력 진압을 강행한 바 있다.
유엔은 국제사회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각종 제재를 ‘무기’ 삼아 미얀마 군정을 상대로 구금자 석방과 민주화 이행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군정은 지난 9월말 물가 폭등 때문에 거리로 나선 승려·시민들을 무장 병력을 동원해 진압해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