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양국 적대관계 틈새 ‘지지’ 누려…자원 눈독 중국·인도 시위사태 팔짱
미얀마 군사정권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나라로 중국과 인도가 꼽힌다. 그렇지만 미얀마와 국경을 맞댄 두 대국은 경쟁적으로 미얀마와 관계 강화에 공을 들여온 터여서, 이번 사태에 본격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 양곤 주민은 <한겨레> 통화에서 “민주화를 바라는 양곤 시민들은 중국이 미얀마 정치에 중립적이기를 희망한다”고 전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군정으로선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를 앞장서 반대하는 중국은 ‘든든한 후원자’다. 중국은 그 대가를 톡톡히 챙기고 있다. 에너지 자원 개발이나 교역에서 ‘무경쟁’의 특혜를 누린다. 독일 <슈피겔>은 미얀마 해안지대 석유시추선의 대부분은 중국 회사 소유라고 전했다.
중국에게 미얀마는 인도양 진출을 위한 둘도 없는 통로다. 중국 남서부 기업들은 미얀마를 통해 인도양으로 나간다. 말라카해협으로 돌아가는 기존 운송로에 비하면 훨씬 경제적이다. 중국은 말라카해협의 미얀마령 코코섬에 정보수집기지를 세우는 등 군사적 제휴도 활발하다.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미얀마 군정의 강경진압을 비난하는 평화시위를 5일째 벌이고 있는 미얀마 학생 250여명과 몽골·티벳·미얀마 출신 승려 80여명은 “인도가 ‘말 없는 구경꾼’으로 남아선 안 된다”며 인도의 영향력 행사를 촉구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2일 보도했다. 인도는 국제사회의 따가운 눈총에 못이겨 지난달 26일에야 처음 “대화를 통한 평화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공식 성명을 냈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미얀마 민주화의 굳건한 지지자였던 인도는, 미얀마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대두되고 치열한 자원경쟁을 겪으면서 국제사회의 비난을 무릅쓰고 군정 쪽으로 돌아섰다. 북동부 미얀마 접경지대의 분리주의 운동을 진압하며 미얀마 군정과 협력관계를 강화해온 인도는 자원을 노리고 산업기반시설(인프라)에도 투자해 왔다.
미얀마 군정은 적대적인 양대 강대국인 중국과 인도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면서 지정학적 이점을 교묘히 활용한다. 미국의 민간 국제정보분석기업인 ‘스트랫포’는 “미얀마의 정권 교체가 성공하기 위해선 주변국들의 개입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중국과 인도는 각자의 이익과 에너지자원 보호에 신경쓴 나머지 완충지대에 있는 미얀마에 적극적 개입은 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미얀마 수출 대상국 가운데 인도(12.8%)와 중국(5.3%)은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 1위는 또다른 접경국가인 타이(49%)였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