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에 보낸 통지문서 언급
이란은 EU 금수조처에 맞서
유럽 원유수출 중단법 논의
이란은 EU 금수조처에 맞서
유럽 원유수출 중단법 논의
국제통화기금(IMF·이하 통화기금)이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구의 대이란 제재로 이란의 원유 수출이 중단될 경우 국제유가가 최고 30%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 통신은 25일(현지시각) 통화기금이 주요 20개국에 보낸 정기 통지문에서 이란의 원유 수출 분량을 다른 산유국들이 보충하지 않으면 제재 초기 단계에서만 유가가 20~30%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통화기금이 이란 제재에 따른 원유 공급 혼란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통화기금은 주요 원유 소비국들의 현재 비축유 규모가 평균 아래 수준이며, 주요 원유 수출국들이 단기적으로 공급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은 제한돼 있다는 점을 급등 가능성의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통화기금은 이란의 원유 수출이 봉쇄되면 지난해 2월 리비아 내전 발발에 필적할 만큼의 충격을 시장에 줄 것으로 예상했다. 2월 중순 배럴당 80달러 중반대에 머물던 서부텍사스유(WTI) 가격은 리비아 원유 생산 중단 등의 여파로 두달여 만에 30% 넘게 상승한 113.9달러를 기록했다. 통화기금은 이란이 전세계 원유 수송량의 40%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 시장에 주는 충격은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밝혔다. 통화기금의 이런 언급은, 이란의 원유 수출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국제유가 상승도 막으려고 하는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에 압력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이란산 원유에 대한 유럽연합(EU)의 금수조처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이란 의회가 대유럽 원유 수출의 즉각 중단을 정부에 요구하는 법률 제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25일 보도했다.
하산 카포리파드 의원은 25일 의회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유럽연합이 이란산 원유 금수를 전면적으로 시행하기 전에 우리 정부가 먼저 유럽에 대한 원유 수출을 중단하는 법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당 법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29일 시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럽연합은 23일 이란으로부터 새로운 원유를 수입하는 계약 체결을 즉각 금지하고 기존 계약도 7월1일까지만 유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