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협 연합군’으로 1천명 파견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걸프협력협의회(GCC)의 연합군이 바레인 민주화시위에 개입했다. 이번 개입은 들불처럼 일어난 중동 민주화시위에서 첫 국제 개입이라는 점에서 큰 파장이 예상된다.
바레인의 여당지인 일간 <알아얌>은 14일 걸프협력협의회 연합군이 바레인 왕정을 소요사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바레인에 진주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바레인 정부는 공식적인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간 <알쿠드스>는 1000여명에 이르는 사우디군이 13일 밤에 이미 바레인에 도착했다고 사우디 고위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사우디 등의 군사 개입은 바레인의 수니파 왕가가 왕정 퇴진을 촉구하는 반정부시위를 감당하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도 마나마에서는 13일 수천명의 시아파 강경파 시위대가 도로들을 점거하고 시위를 벌였고, 경찰은 최루가스와 고무탄 등을 동원해 진압에 나섰지만 결국 시위대 강제 해산에 실패했다. 이들 시위대는 14일에도 도로들을 점거한 채 왕정 퇴진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시위가 격화되자 바레인 여권은 3개월간 비상계엄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국왕에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이 12일 바레인을 비공식 방문해 바레인의 과감한 정치개혁을 촉구하면서 개혁에 실패할 경우 이란의 개입 가능성이 커진다는 경고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군사 개입은 걸프협력협의회라는 집단적 대응의 형태를 취했지만, 시아파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협의회의 중심국인 사우디의 군사 개입이다. 사우디의 수니파 왕가는 동쪽 인접국인 바레인에서 시아파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그 여파가 사우디 내 시아파의 반정부 시위를 악화시킬 것을 우려해 왔다. 사우디는 1994년에도 시아파의 반정부시위 때도 바레인에 군사 개입한 적이 있다.
협의회는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 및 오만으로 구성돼 있고, 지난 10일에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는 소국인 바레인과 오만에 모두 200억달러의 재정지원을 약속하는 등 바레인 왕정 등에 대한 확고한 지지 입장을 밝혀왔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