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금지구역 대신 해상봉쇄·인도적 지원 검토
오바마·캐머런 ‘모든 범위에서 대응방안 추진’
오바마·캐머런 ‘모든 범위에서 대응방안 추진’
리비아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가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미국과 유럽국가들은 주변국들의 지지를 전제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가 해·공군을 동원해 인도적 지원 및 해상봉쇄에 나서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토는 10일 열릴 국방장관회의에 앞서 인도주의적 지원과 군사적 옵션을 포함한 모든 방안에 대해 회원국들에 브리핑을 실시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9일 보도했다. 나토의 한 관리는 “안보리 결의 대신 리비아에서 반경 5천마일 이내의 국가들을 회원국으로 거느린 아랍연맹과 아프리카연합, 북대서양조약기구, 그리고 유럽연합의 지지를 얻는다면 일정 수준의 정당성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탈리아의 프랑코 프라티니 외무장관은 미국·영국 외무장관들과의 통화에서 나토와 유럽연합, 아랍연맹 등의 지지가 있는 경우 기지 이용을 허용할 것이란 뜻을 전달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탈리아는 리비아와 마주보고 있는 시칠리아섬에 미 해군과 나토군이 이용할 수 있는 공군 기지를 갖고 있다. 나토는 1999년 유엔 결의 없이 세르비아에 대한 공습을 감행한 바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도 8일 전화통화에서 나토 차원의 방안을 포함해 모든 범위에서 가능한 대응 방안들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면서 국제적 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미국 단독의 군사적 행동은 당분간 없을 것임을 시사한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분석했다.
리비아 사태의 국제사회 군사개입 수위는 10일 나토 국방장관회의 및 유럽연합 외무장관회의, 11일 유럽연합 특별정상회의, 주말 아랍연맹 및 아프리카연합 회의 등에서 가닥이 잡힐 전망이다.
한편 유엔은 9일 무아마르 카다피 세력에 의한 과거 고문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