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시위 번지는 중동·북아프리카 상황
바레인, 유혈진압 항의해 5만명 거리시위 예고
예멘·알제리도 저항 격렬…“군부 개입이 변수”
예멘·알제리도 저항 격렬…“군부 개입이 변수”
중동 ‘민주화 도미노’ 앞날은?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의 철권 통치자를 쫓아낸 민주혁명이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권위주의 국가들에 민주화 시위의 도미노 현상을 일으키면서, 각국이 서로 다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서둘러 양보안을 내놓고 시위를 무마하려 하는 반면, 정권 유지의 중심축으로 막강한 군경 병력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들은 강경진압도 서슴지 않는다. 시민사회의 전통이 미약한 이들 국가에선 튀니지와 이집트처럼 군부의 충성도와 의도 등이 민주화 시위의 성공 여부에 상당한 변수가 되고 있다.
■ 튀니지와 이집트는 아직도 혁명중 반정부 시위 18일 만에 독재자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을 권좌에서 쫓아냈지만, 나일혁명은 아직 미완성이다. 시위 이전부터 무바라크의 세습 계획에 반대했던 군부는 시위를 발판 삼아 ‘부드러운 쿠데타’를 일으켰다. 군부는 6개월 뒤 민정이양 계획을 발표하는 등 아직까지는 시위대의 요구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슬람근본주의 위협 억지와 체제 유지 등의 목적을 앞세운 군부와 전면적인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대 간의 밀월이 끝날 수도 있다.
튀니지 재스민혁명도 아직 진행중이다. 이집트보다도 더 야당세가 미약한 상황에서 민주주의의 옷으로 갈아입은 구정권세력이 집권할 가능성과 군부가 전면에 나설 가능성이 여전히 상존한다.
■ 다음 차례는 바레인, 예멘, 알제리? 수니파인 칼리파 왕가와 국민 다수를 차지하는 시아파 간의 종파 갈등이 결합된 바레인의 민주화 시위는 17일 새벽 정부에 유혈 강제진압됐지만, 시민 수천명은 집회금지령에도 18일 수도 마나마에서 왕정타도 시위를 이어갔다. 바레인 보안군이 최루탄과 대공기관총 경고사격까지 하면서 부상자가 속출하는 등 사태가 격화하고 있다고 <에이피>(AP) 통신은 전했다.
예멘을 32년 통치해온 살레 대통령이 2013년 대선에 나서지 않겠다며 정치개혁 양보안을 내놨지만, 아들 승계에 대한 의구심을 버리지 않는 시위대들은 전면적인 정치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계속되는 강경진압으로 시위도 점차 과격해지고 있다. 종족간 갈등을 이용하고 군부의 충성심에 의존해온 살레의 정권 장악력은 계속 약해지고 있다.
알제리에선 튀니지 혁명 이후 일상화된 소규모 반정부 시위와 강경진압이 되풀이되고 있다.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과 모함메드 메디엔(72) 군 정보보안국장 간에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내부 권력투쟁에 따라 정권의 향배가 갈릴 가능성이 높다.
■ 나머지 국가들은 아직 정중동 시위의 무풍지대였던 왕정국가 모로코에서도 20일 대규모 시위가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야당들은 시위 참여를 통한 정권 타도보다는 입헌군주제 하에서 발언권 강화를 노려 폭발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또다른 왕정국가인 요르단은 시위 초기부터 압둘라2세 국왕이 직접 나서 개각 및 선거법 개정과 총선 실시를 약속하는 등 시위대 요구를 신속하게 수용해 시위 기세는 크게 약화된 상황이다. 사우디 등 걸프연안 왕정국가들은 국민들의 불만을 달랠 풍부한 석유자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주변국의 시위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리비아에선 제2의 도시인 벵가지와 바이다 등에서 계속된 반정부 시위에 대한 유혈진압으로 18일까지 24명이 숨졌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카다피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는 전국적인 민중봉기로 확산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란의 경우도 반정부 시위가 정권 위협으로 보기에는 미약하고, 시리아는 소규모 시위를 초기 진압하고 정치개혁을 약속하는 한편 모든 보안기관을 동원해 통치를 강화해 정권 붕괴의 위협에서 벗어나 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 나머지 국가들은 아직 정중동 시위의 무풍지대였던 왕정국가 모로코에서도 20일 대규모 시위가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야당들은 시위 참여를 통한 정권 타도보다는 입헌군주제 하에서 발언권 강화를 노려 폭발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또다른 왕정국가인 요르단은 시위 초기부터 압둘라2세 국왕이 직접 나서 개각 및 선거법 개정과 총선 실시를 약속하는 등 시위대 요구를 신속하게 수용해 시위 기세는 크게 약화된 상황이다. 사우디 등 걸프연안 왕정국가들은 국민들의 불만을 달랠 풍부한 석유자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주변국의 시위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리비아에선 제2의 도시인 벵가지와 바이다 등에서 계속된 반정부 시위에 대한 유혈진압으로 18일까지 24명이 숨졌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카다피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는 전국적인 민중봉기로 확산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란의 경우도 반정부 시위가 정권 위협으로 보기에는 미약하고, 시리아는 소규모 시위를 초기 진압하고 정치개혁을 약속하는 한편 모든 보안기관을 동원해 통치를 강화해 정권 붕괴의 위협에서 벗어나 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