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폴에 수배 요청…구체제 청산 가속화
‘재스민 혁명’의 진원지 튀니지에서 2주째 계속되는 시위에 과도정부가 국민들의 과거 청산 요구를 수용한 양보적 조처를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수도 튀니스의 총리 공관 앞에선 26일에도 수백명의 시위대가 과도정부에 참여한 구체제 인사 퇴진을 촉구하는 격렬한 시위를 벌이며 최루탄을 쏘는 진압경찰과 충돌했다.
과도정부의 라자르 카루이 체비 법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도피한 자인 엘아비딘 벤알리 전 대통령과 일족들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하고 인터폴에 국제수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가 재산을 국외로 빼돌리고 국내 부동산과 국외 자산을 불법으로 획득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벤알리 전 대통령의 부인 레일라 트라벨시는 국외도피 직전 튀니지 중앙은행에서 1.5t의 금괴를 빼내갔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는데, 중앙은행 쪽은 빠져나간 금괴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체포영장이 발부된 대통령 일족들 가운데는 국외로 도주한 벤알리의 사위, 레일라의 오빠, 조카 등이 포함됐다. 체비 법무장관은 이미 벤알리의 친인척 7명과 함께 대통령 경호실 요원 6명도 국가 안보를 해친 혐의 등으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또 과도정부 대변인 타이에브 바쿠치는 국영통신과 이날 회견에서 “내일 개각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 통신은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구정권에 참여했던 내무· 국방·외무장관 등이 퇴진 명단에 포함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튀니지 과도정부는 계속되는 시위에도 불구하고 지난 2주간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실시하던 통금 조처를 밤 10시부터 새벽 4시까지로 단축하는 등 주민 불만을 누그러뜨리고 질서를 회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