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사치품이어서”…징벌적 봉쇄정책 비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봉쇄하고 있는 이스라엘이 마카로니, 종이, 보청기 등 식품과 생활용품까지 반입을 금지시켜 빈축을 사고 있다.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폐허가 된 가자지구의 주민들은 재건은 물론 생계 유지도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달 이스라엘을 방문한 미국 의회 의원들은 마카로니가 반입 금지된 것을 확인하고 에후드 바라크 국방장관과 만나 이 문제를 제기했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2일 보도했다. 이스라엘 쪽은 마카로니가 식품이 아니라 ‘사치품’이라는 이유로 국경 통과를 허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의원들은 “마카로니로 사람을 죽일 수 있느냐”며 이스라엘을 비난했다.
어이없는 금지 품목 리스트는 이뿐만이 아니라고 현지 유엔 관리 및 구호단체 관계자들은 전한다. 보청기는 건전지 안의 수은이 화학무기 제작에 쓰일 수 있다는 이유로, 재건을 위해 필수적인 시멘트와 철근은 “땅굴을 파고 로켓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금지됐다. 펌프와 발전기, 냉장물질 등도 국경을 넘지 못한다.
프랑스 정부가 제공한 정수설비도 반입이 거부돼 프랑스 쪽을 실색케 했다. 케렘샬롬의 검문소에선 학생들의 공책을 싣고 가던 트럭들이 대당 수수료 1천달러를 내라는 요구에 차를 돌렸다. 교과서를 펴내기 위한 종이도 금지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케네스 로스 국장은 “이스라엘의 봉쇄정책은 한마디로 (주민들에 대한) ‘처벌’”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가자지구 재건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들이 16.5억달러, 미국이 9억달러를 내놓겠다고 밝히고 있는 가운데, 지원금 모금과 재건사업 시행 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회의가 2일 이집트 홍해의 휴양지 샤름엘셰이크에서 열렸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