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국내사찰 논란 잇따라 ‘강경 대응’ 지지율 8% 올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최근 이라크와 국내사찰 논란에서 강경 일변도로 나가는 데엔 이유가 있다. 바로 지지율의 반등이다. <워싱턴포스트>는 20일 공개한 자체 여론조사에서, 부시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11월 초에 비해 8%포인트나 뛰어올랐다고 보도했다. 아직 지지(47%)보다는 반대(52%)가 많긴 하지만, 가파른 지지율 상승은 최근 부시의 강경한 대국민 홍보가 일단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실시된 <에이피(AP)통신>과 <뉴욕타임스> 보도에서도 부시의 지지율 반등 기미는 포착됐다. 부시 지지율의 상승엔 이라크와 경제에서 상황 호전의 기미를 보이는 게 중요한 발판이 됐다. 또 “이라크에서 패배냐 승리냐, 국가안보냐 인권이냐”라는 식의 선택을 강요하는 그의 홍보전략이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시 대통령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논란이 된 미국내 ‘영장 없는 비밀도청’ 문제에 대해 “만약 이걸 2001년 9·11 이전에 했다면 테러범들과 해외 테러조직과의 전화통화를 미리 잡아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히려 이런 특급 기밀사항을 언론에 흘린 행태를 비난하면서 “법무부가 전면적인 조사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부시는 지난 18일에도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이라크에서 조기철군은 없다”고 반대파들을 강하게 비난했다. <타임>은 “백악관이 내년 1월을 정국 반전의 결정적 시기로 삼는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런 전략이 얼마나 오래 갈지는 불투명하다. <워싱턴포스트>는 “국민들의 이라크정책 지지율은 과거에도 긍정적 소식이 전해지면 잠깐 올라갔다가 다시 떨어지곤 했다”고 밝혔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