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4월 서울 용산 미8군 기지에서 미군 유해 송환 행사가 열리고 있다. 당시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가 방북해 유해 6구를 건네받은 게 북한의 마지막 미군 유해 인도 사례다. 사진공동취재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싱가포르에서 합의한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 절차가 이르면 며칠 안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8월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유예가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미의 첫 신뢰 구축 조처라면, 미군 유해 송환은 북한 쪽의 첫 신뢰 표시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19일(현지시각) 미국 언론에 북한이 앞으로 며칠 안에 한국전쟁 때 실종된 미군을 포함한 병사들의 유해를 송환하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한국에 있는 유엔군사령부에 유해를 송환할 것이며, 이후 유해는 하와이의 공군기지로 이송될 예정이라고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유해 송환 날짜와 장소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 관계자는 <시엔엔>(CNN) 방송에 백악관이 유해를 직접 수습하기 위해 평양에 특사를 파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몇년 동안 발굴해온 최대 200구의 미군 유해를 송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방부는 한국전쟁 당시 실종된 미군은 총 7697명이며, 이 가운데 전사해 북한 땅에 묻혀 있는 유해가 5300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유해 송환 문제를 강력히 제기해 북·미 공동성명에 포함시켰으며, 김 위원장이 즉시 시작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유해 송환이 이뤄질 경우 2007년 이후 11년 만이 된다. 1996년부터 2005년 사이 북-미 합동조사단이 북한에서 200여구의 유해를 발굴했지만, 조지 부시 행정부 들어 북-미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런 작업에 현금이 들어간다는 이유 등으로 활동이 중단됐다.
미군 유해 발굴·송환 작업과 이에 참여한 북한 노동자에 대한 노임 제공은 전사자에 대한 예우 분위기로 미국 사회에선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북-미 관계 해빙 국면마다 첫 신뢰 구축 조처로 계속 거론돼 왔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