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북-미 정상회담도 급물살…트럼프 “북-미회담 장소 2곳 압축”

등록 2018-04-29 17:27수정 2018-04-29 22:39

청와대 ‘한국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말하기 어렵다”
외신들은 싱가포르·몽골 등 무게…평양도 배제 못해
트럼프 “3~4주 안에 열릴 것”…의제 등 의견접근 시사
폼페이오 장관 “북과 비핵과 메커니즘 논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27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영접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27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영접하고 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 장소가 2곳으로 압축됐고, 날짜도 5월 안에 열릴 것이라 시사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 직후 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매우 좋은 일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회담) 장소에 관해 두 개 나라까지 줄였다”고 밝혔다. 하루 전날만 해도 후보지가 5곳이라고 한 것에 비하면 한층 진전된 발언을 내놓은 것이다. 청와대도 29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내용을 브리핑하며 “장소와 관련해 2~3곳으로 후보지를 압축하며 각 장소의 장단점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 장소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청와대 고위 관계자나 복수의 워싱턴 소식통 말을 종합하면, 지금까지 알려졌던 싱가포르나 몽골, 스위스가 아닌 한국 등 ‘제3의 장소’가 검토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북한이나 미국은 아니라면서 ‘한국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엔 “말하기 어렵다. 문 대통령이 먼저 제안한 장소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한국의 한두 곳을 후보지로 제안했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반응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뉴욕 타임스>, <시엔엔>(CNN) 등 미국 주요 언론들은 미 행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싱가포르나 몽골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스위스 제네바도 여전히 유력하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주목도, 교통, 후보지와 사전 접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현실성이 낮아 보인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평양 개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파격을 통해 주목받기를 즐기는 트럼프 대통령이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평양을 낙점할 가능성이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것이다. 물론, 단점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평양을 방문하면, 미국이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정당화했다는 내부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잇따라 표시하는 것을 두고 평양 개최 수용을 위한 사전 분위기 조성이라 보는 시각도 있다.

북-미 정상회담 시기도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미시간주 워싱턴에서 한 중간선거 지원 유세에서 “3~4주 안에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밝혀온 ‘5월말 혹은 6월초’보다 다소 당겨진 느낌이다. 시기를 앞당긴다는 것은 장소·경호·의전 등 실무적 문제뿐 아니라 비핵화 등 핵심 의제와 관련해 북-미 간에 상당한 의견 접근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메르켈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한반도와 세계인들이 더 밝은 미래를 여는 한반도 전체의 평화와 번영, 화합의 미래를 추구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와 번영’은 우리 정부가 일관되게 추구해온 목표였다. 한반도 상황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이해도가 깊어졌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27일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의 공식 명칭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이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9일 미 <에이비시>(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위한) 메커니즘이 무엇일지에 대해 많은 얘기를 나눴다. 우리는 미국이 김정은과 그의 핵 무기에 위험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평화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한 외교적 해법을 따라야 할 의무를 지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싸고 북-미 사이에 이미 상당히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뿌리는 티켓’일까…전광훈이 받은 트럼프 취임식 초청장, 누가 보냈나? 1.

‘뿌리는 티켓’일까…전광훈이 받은 트럼프 취임식 초청장, 누가 보냈나?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3명 석방…“건강한 상태” 2.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3명 석방…“건강한 상태”

우크라 군사매체 “러시아 파병 북한군, 4월 중순이면 궤멸” 3.

우크라 군사매체 “러시아 파병 북한군, 4월 중순이면 궤멸”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4.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전쟁 공포에도 떠나지 않는 이들에게서 희망 봤죠” 5.

“전쟁 공포에도 떠나지 않는 이들에게서 희망 봤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