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백악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고 있다. 워싱턴/UPI 연합뉴스
다음달 초 한·중·일 순방을 앞두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 시작된 중국의 제19차 당대회가 끝나면 대북 제재 강도를 더욱 높이라고 중국을 압박할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각) 방영되는 <폭스 뉴스>와의 지난 20일 사전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은 지금 당대회를 치르고 있다”며 “시 주석이 북한과 관련해 매우 중대한 조처를 취할 수 있는 (공고화된) 권력을 획득할 것으로 생각한다.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그럼에도 우리는 모든 것이 준비돼 있다. 필요한 경우에 대비해 우리가 얼마나 철저하게 준비돼 있는지를 알게 되면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당대회는 시 주석에게 이전의 중국 지도자들이 거의 가진 적이 없던 것(공고화된 권력)을 부여할 것”이라며 “솔직히 말해, 시 주석이 그것(권력)을 획득할 때까지 아주아주 ‘로 키’(조용한 대응)로 상황을 유지하고 싶다. 그가 그런 권력을 획득하기 원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중국의 당대회라는 내부 정치 상황을 ‘배려해’ 그동안 시 주석을 거칠게 밀어붙이지 않았으며, 당대회 이후에는 시 주석의 권력이 강화돼 내부 반발을 무마할 수 있으니 북한을 더욱 강도 높게 옥죄라는 주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모든 것이 준비돼 있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이 이를 거부할 경우 중국의 안보환경을 흔들겠다는 협박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미국 당국자도 21일 <로이터> 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의 견해는 이제 (중국의 대북 압박 회피에 대한) 변명의 여지가 줄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제임스 퍼슨 우드로윌슨센터 한국사·공공정책센터 코디네이터는 <에이피> 통신에 “미국은 중국의 대북 영향력의 한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패를 거듭하는 것은 북한 문제 해결을 아직도 중국에 의존하려는 잘못된 정책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