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안에 북한이 추가 긴장 고조 행위를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 참모들한테서 다양한 대북 옵션을 보고받고 논의했다고 백악관이 10일(현지시각) 밝혔다.
백악관은 이날 공식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전 백악관에서 국가안보 관련 참모들을 만났으며, 이 자리에서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과 조지프 던포드 합참의장한테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보고와 논의의 초점은 어떠한 형태의 북한 공격에도 대응하고, 필요한 경우 북한이 핵무기로 미국과 동맹국들을 위협하는 것을 막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에 맞춰졌다”고 덧붙였다. ‘군사옵션’이라고 직접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발표 내용을 보면 군사옵션도 논의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달 3일 매티스 장관이 직접 기자회견 형식으로 회의 내용을 소개하고 성명을 발표한 것에 비하면 형식이나 내용 면에서 수위가 낮지만, 백악관이 국가안보회의 개최 사실을 성명 형식으로 공개하는 것은 이례적인 편에 속한다.
이는 미국이 10일 밤 한반도 상공에 전략무기인 B-1B ‘랜서’ 장거리 전략폭격기 편대를 전개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 가능성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 태평양사령부도 이날 알래스카주 포트 그릴리 주둔 육군 제49 방공미사일 대대가 비상사태에 대비해 24시간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군사옵션을 ‘논의했다’는 것과 실행하기로 결정했는지 여부는 전혀 별개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백악관의 성명은 ‘논의했다’는 내용만 부각시켜 의도적으로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한이 먼저 군사적 공격을 가할 때나 상당한 위협을 제기할 때 이에 대응하는 것은 자위권을 발동하겠다는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늘 반복해온 얘기다.
헤더 나워트 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군사옵션을 갖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외교가 첫번째 접근 방법”이라며 “어떤 나라도 다른 국가와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 우리는 외교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나워트 대변인은 “우리는 평화스러운 한반도를 원한다”며 “이 점에 있어서 세계 대다수 국가들이 우리에게 동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