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회의 뒤 “우리는 항상 협상 고려할 것”
’화염과 분노’ 발언엔 “그 정도는 강경한 것 아냐”
선제타격 질문엔 “그런 건 대놓고 얘기하지 않을 것”
’화염과 분노’ 발언엔 “그 정도는 강경한 것 아냐”
선제타격 질문엔 “그런 건 대놓고 얘기하지 않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각) 북한과의 적극적인 협상 가능성을 열어놓는 발언을 내놨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아이시비엠) 잇단 시험발사와 트럼프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 발언 등으로 긴장지수가 치솟던 한반도 정세가 진정국면으로 돌아서는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뉴저지 주 베드민스터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국가안보회의(NSC)를 연 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여건이 달라지면 북한과의 협상을 검토할 것이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우리는 항상 협상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가안보회의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와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외교안보 참모들이 대거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빌 클린턴(전 대통령)을 봐라. 그는 (북한과) 협상을 접었다. 그는 약했고 효과가 없었다. 조지 부시(전 대통령) 때도 무슨 일이 있었는지 봐라”며 이전 정부를 비판했다.
특히, 그는 “버락 오바마(전 대통령) 때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봐라”며 “오바마는 심지어 그것(협상)에 대해 얘기하는 것도 좋아하지 않았다. 때가 됐다. 누군가는 (협상을) 해야 한다. 누군가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북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시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할) 때가 됐다”는 발언이 지금 당장 북한과 마주앉아 공개적인 회담을 하겠다는 뜻은 아니다. ‘여건이 달라지면’에 대한 답변이므로 ‘올바른 여건이 갖춰져야 협상할 수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방침의 연장선에 있다. 다만, 최근 들어 북-미간 ‘강 대 강’ 구도의 출구를 모색하려는 성격이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근거로 참모들이 추가 긴장고조를 막기 위해 다양한 비공식·비공개 물밑 접촉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화염과 분노’ 발언이 잘못된 게 아니라고 주장하고, 북한의 ‘괌 포위 사격 성명’에 대한 강한 경고와 대북 압박도 내려놓지는 않았다. ‘긴장완화를 위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협상 전략이 아직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화염과 분노’ 발언에 대한 비판에 대해 “그정도는 강경한 게 아니다”라며 “북한이 오랫동안 우리한테 한 것을 봐라. 따라서 그 정도 언급은 강경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상대방의 비판에 대해 ‘잘못이 없다’고 강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형적인 대응 방식이다.
그는 북한에 대해 ‘선제타격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엔 “우리는 그런 것에 대해 대놓고 얘기하지 않는다. 결코 얘기하지 않는다”며 분명한 언급은 꺼렸다. 그는 ‘화염과 분노보다 더 강경한 것이 있다면 무엇이냐’는 질문에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역시 예민한 사안은 모호성 전략으로 피해나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식이다.
다만, 그는 북한의 ‘괌 포위 사격’ 성명에 대해선 “김정은이 괌에 무슨 일을 하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일이 북한에서 일어날 것”이라며 “북한은 정신을 차리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고통을 겪었던 일부 국가처럼 북한도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북한 문제에 있어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북 제재 압박을 계속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