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에 배치된 사드 포대. 성주/연합뉴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한 한국 새 정부의 입장에 대해 미국 쪽에선 불편해하는 기색이 조금씩 증가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미국 행정부에선 가능한 한국 쪽 입장을 이해하려는 분위기가 강한 반면, 몇몇 의원들은 공개적으로 반발하는 등 온도차도 존재한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8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을 통해 ‘한국 정부의 (환경영향 재평가) 결정에 실망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식으로 성격을 규정짓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그러나 사드 관련 사항은 미국 정부에 대단히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이것은(사드 논의는) 최고위급 차원에서 있었던 대화”라며 “우리는 사드가 그 당시 동맹의 결정이었음을 계속 얘기할 것이고, 한국과 계속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어트 대변인의 이같은 발언은 그동안 사드 배치가 “투명하게 이뤄졌다”며 해명에 초점을 맞췄던 것에서 더 나아가, 배치 철회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을 좀더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노어트 대변인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백악관에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을 만나 한반도 안보 현황 등을 논의했다며, “(사드 문제도) 대화의 일부분이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국무부에서 열린 틸러슨 장관과 매티스 장관의 정기 업무조찬에서도 사드 문제가 논의됐다고 그는 소개했다. 한국 정부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했던 미 행정부에서도 미국 언론들이 ‘한국 정부가 중국을 선택했다’는 식으로 사드 문제를 부각시키자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회에선 좀더 노골적으로 한국 정부를 압박했다.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은 지난 7일 성명에서 “사드는 점증하는 김정은의 무기 위협으로부터 한국 국민들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시스템”이라며 “사드의 완전한 배치와 관련한 어떤 환경적 우려도 신속하고 철저한 검토를 통해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딕 더빈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도 최근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한국 정부 조처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북핵 특사는 7일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산하 한미연구소 소장 취임 행사 뒤 <한겨레> 등과 만나 “문재인은 대통령이다. (배치) 연기든 중지든, 그렇게 할 수 있다”며 “그렇게(환경영향재평가) 한 것은 타당한 일이고 나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