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오른쪽)가 16일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열리기 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16일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추가 대북 제재를 놓고 미국과 중국이 온도차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만장일치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낸 데 이어 이날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미국 쪽은 선제적으로 대북 추가 제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추가 제재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지지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복수의 유엔 외교관을 인용해 보도했다.
긴급회의에 앞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은 (북한과) 대화할 시점이 아니냐’는 질문에 “미국은 대화할 용의가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 개발 과정 및 모든 관련 실험이 전면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헤일리 대사는 “김정은은 피해망상증이 있다. 우리는 그를 암살하려 하지도 않고 정권 교체를 시도하지도 않을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것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것이다”라며 이렇게 밝혔다.
헤일리 대사가 북한과의 대화 전제 조건으로 내걸은 ‘핵개발 과정의 전면적 중단’은 단순한 핵실험 중단을 넘어 모든 핵프로그램의 사실상 ‘동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화의 문으로 가는 문턱을 아직은 상당히 높게 설정한 편이라, 미국 행정부가 기존 입장을 바꿨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헤일리 대사는 유엔 회원국들에게 “북한을 지지하든지 아니면 우리를 지지하라”며, 북한을 지지하는 국가들을 “공개적으로 지목하겠다”고 압박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