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 보도에 외교 소식통들 “사실 아니다” 반응
김정은 미국 올 가능성 거의 없어 현실성에 의문도
김정은 미국 올 가능성 거의 없어 현실성에 의문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포기를 조건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위원장과 미국에서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제안을 중국에 했다는 일본 <교도>통신의 9일 보도와 관련해,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 및 백악관 사정을 잘 아는 외교 소식통은 8일(현지시각) ‘미국의 김정은 회동 중국에 제안설’과 관련해 “사실 무근인 것으로 보인다”며 “백악관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쪽 사정을 잘 아는 소식통도 “그런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미국이 그런 얘기를 했을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에 올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기사의 사실 여부를 떠나 ’미국 회동’ 자체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그(김정은)와 함께 만나는 것이 적절하다면 틀림없이 그렇게 할 것이다. 그를 만나면 영광일 것”이라고 말한 적은 있다. 하지만, 이를 공식적인 제안 형태로 중국을 통해 북한에 전달했다면,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한국을 배제한 채(코리아 패싱) 북한과 미국간 구체적인 협상이 시작됐음을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와 함께 △정권 교체를 추구하지 않는다 △ 정권 붕괴를 추구하지 않는다 △남북통일을 가속화하려 하지 않는다 △미군은 한반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38선을 넘어서 북한에 진공하지 않는다 등 대북정책과 관련한 ‘4가지 노’(NO) 방침을 보증하겠다는 의사도 중국 쪽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런 방침들은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국무부 직원을 대상으로 연설하면서 밝힌 것들이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