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오는 28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들의 장관급 회의를 주재해 북핵 문제 등을 논의한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3일(현지시각) 미국이 이번달 안보리 순회의장국을 맡게 된 것을 계기로 연 기자회견에서 28일 비확산 문제에 관한 안보리 장관급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특히 북한의 핵활동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헤일리 대사는 “북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안보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어떻게 전진시킬 수 있을지 등의 관점에서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회의 개최 배경을 밝혔다. 그는 특히 “중국이 25년 이상 북한 문제를 우려한다고 말해왔지만 행동하는 것은 보지 못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행동하기를 원한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이번 안보리 장관급 회의는 오는 6~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뒤 이뤄지는 ‘후속 조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대북 제재 강화 동참을 요구하고, 이를 유엔이라는 다자무대에서도 공론화해 압박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헤일리 대사가 오는 18일 개최를 제안한 안보리 인권 회의에선 북한 인권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미 하원은 이날 본회의를 열어 ‘대북 테러지원국 재지정 촉구법’을 찬성 398 대 반대 3표로, ‘대북 대륙간탄도미사일 규탄 결의안’은 찬성 394 대 반대 1표로 통과시켰다. 테러지원국 재지정 촉구법은 ‘김정남 암살 사건’ 등을 거론하며 미 국무부가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여부를 결정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대북 규탄 결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비난하며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의 조속한 한반도 배치를 촉구하고 있다.
하원이 상임위인 외교위원회 통과 닷새 만에 법안과 결의안을 처리한 것은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측면 지원으로 보인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