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가 9일 워싱턴에서 만나 북핵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H6s워싱턴/주미대사관 제공 연합뉴스
미국을 방문 중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한국의 압박 조처들과 관련해 “중국이 항의·반대한다해도 거기에 상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행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김 실장은 중국의 사드 관련 압박을 비롯해 부산 소녀상 설치에 대한 일본의 압박 등 주요 외교·안보 이슈에 대해 미국과 논의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10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가 한-미 동맹에 대해 ‘찰떡(sticky rice cake) 공조’라는 표현을 썼다고 소개한 뒤, 미국 새정부에서도 북핵 공조와 한-미간 협력을 더욱 배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북한의 긴장고조 행위가 있을 경우 미국의 예상 대응책을 묻는 말에 “강한 메시지가 나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그러나, 김 실장은 차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와 관련해 “거론되지 않았다. 아직 논의할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일본의 부산 소녀상 경제·외교 압박에 대해서도 “한-일관계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왜 ‘얘기하지 않았냐’는 후속 질문이 이어지자 “짧은 만남 시간(1시간)에 안보현안에 대해 논의하기도 벅차다. 주로 안보 이야기를 많이 했다”고 밝혔다. 그는 수전 라이스 현 국가안보보좌관과도 한-일 관계나 소녀상 문제에 대해선 “논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를 위해 한-일에 위안부 합의를 압박해왔다.
김 실장은 또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미국의 대중국 정책 기조에 대해 논의 해봤냐’는 질문에 “북한 제재 동참을 위해 중국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원칙적 얘기가 있었고, 구체적으로 중국에 어떻게 할지는 미국이 활용해야 할 정책사안”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