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각) 중국 항저우에서 버락 오바마(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반기문(왼쪽) 유엔 사무총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켜보는 앞에서 악수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파리 기후변화 협정을 공식 비준하고 반 총장에게 비준서를 전달했다. 항저우/AP 연합뉴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2대 배출국으로 꼽히는 미국과 중국이 3일(현지시각) 역사적인 파리 기후변화 협정(파리 협정)을 공식 비준해 유엔에 제출했다. 이르면 올해 안에 파리 협정이 발효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중국 항저우에서 양국 정상회담을 열기 직전 비준 서명식을 가진 뒤 이를 지켜보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비준서를 전달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싸움은 아무리 강력한 국가라도 혼자 할 수 없다”며 “언젠가 이번 협정에 대해 지구를 구하기 위해 결단을 내린 순간으로 평가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시진핑 주석도 “과거의 방법은 우리를 더 이상 멀리 가게 하지 못할 것”이라며 “우리는 기후변화에 대한 혁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중의 비준으로 파리 협정이 올해 안에 발효될 전망은 상당히 밝아졌다. 파리 협정이 발효되려면 55개국 이상이 비준하고, 비준국의 탄소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55% 이상이 돼야 한다. 세계 각국은 지난 4월 유엔에서 서명식을 마친 뒤 비준절차를 시작했지만 현재 북한을 포함해 23개국만이 비준을 마쳤다. 또한, 이들 국가의 탄소배출량 비중은 1%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8%를 점하는 미·중의 비준은 다른 국가들에게도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온실가스 세번째 배출국인 인도도 올해 안 비준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현재 비준을 했거나 올해 안에 비준을 약속한 국가가 55개국을 넘는다”고 전했다.
파리 협정은 지난해 12월 세계 196개국 정상과 대표들이 모인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합의됐으며,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해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을 이번 세기말까지 ‘2도보다 훨씬 낮게’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