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강력 규탄”
중 “모든 당사자 긴장 유발 행위 피해야”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성명 못내
중 “모든 당사자 긴장 유발 행위 피해야”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성명 못내
미국과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둘러싼 불편한 관계를 반영하듯, 노동 미사일로 추정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상당한 온도 차를 보였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3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을 통해 “국제사회가 단합할 때 불안정을 야기하는 북한의 행동에 대한 우리의 대응도 더 강해진다”며 “국제사회와의 효과적인 협력에 높은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북한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기 위해 러시아·중국과도 효과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 대변인실은 4일 관영 <차이나 데일리>의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질의에 답하는 형식으로 “현재 상황 속에서 모든 당사자는 이 지역의 긴장을 높이거나 서로를 도발하는 행위를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이 ‘모든 당사자’로 지칭한 것은 미국과 한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날 답변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특정해 비난하는 내용이 들어있지 않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한·미·일의 요청에 따라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 관련 긴급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지만, 구체적인 성명 등을 내놓지는 못했다. 사드 배치와 관련된 미국과 중-러 간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안보리는 과거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마다 언론성명을 채택하는 등 신속히 대처했다.
워싱턴 베이징/이용인 김외현 특파원 yyi@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