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서치, 통계로 불평등 재확인
1971년 61%서 올초 49.9%로 줄어
1971년 61%서 올초 49.9%로 줄어
미국의 중산층 인구가 44년 만에 처음으로 전체 미국인의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불평등과 양극화 우려가 통계적으로 다시 한번 입증된 것이어서, 내년 미국 대선에서도 ‘중산층 살리기’ 문제가 상당한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비영리 연구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9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1971년 전체 인구의 61%를 차지했던 중산층 비율은 올해 초를 기준으로 49.9%로 떨어졌다. 인구수로 따지면 중산층은 1억2080만명으로, 상위층과 하위층을 합한 1억2130만명보다 50만명 가량 적다. 센터는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소득이 4만1900달러에서 12만5600달러 사이의 3인 가구를 중산층으로 분류했다고 밝혔다.
중산층 감소는 상위층과 하위층의 증가로 이어졌다. 1971년 25%를 차지했던 하위층은 올해 초엔 29%로 4%포인트가량 늘었다. 상위층은 같은 기간 14%에서 21%로 증가해, 하위층 증가폭보다 조금 컸다. 이 연구소의 랙케쉬 코크하르 부센터장은 “숙련 노동자들의 혜택은 증가하는 반면, 비숙련이거나 교육을 덜 받은 사람들은 소득 수준이 뒤처지는 경향이 있다”며 중산층에 속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어 소득 불평등 징후가 점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풀이했다.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다른 징후들도 여럿 있다. 1970년부터 2014년 사이에 상위층의 소득 중앙값은 47% 증가한 17만4600달러였지만, 중산층은 34% 상승에 그친 7만3400달러였다. 하위층의 소득 중앙값은 28% 상승한 2만4074달러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미국의 총소득에서 중산층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1970년 62%에서 2014년엔 43%로 뚝 떨어졌다. 이에 견줘 같은 기간 상위층의 미국 총소득 대비 비중은 29%에서 49%로 커졌다.
미국의 중산층은 미국 경제를 받치는 토대였지만, 임금 정체와 물가 상승 등으로 지난 40여년동안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왔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