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중국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4차 핵실험 시사 움직임과 관련해 “긴장 조성 행위를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를 시사한 데 대해 미리 판단하지 않겠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북한이 로켓을 발사하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관련국이 신중한 행동을 함으로써 한반도와 지역 긴장을 초래하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희망한다”며 “북한은 주권국가로서 우주의 평화적 이용 권리가 있지만, 이 권리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관련 결의의 제한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제4차 핵실험을 시사하며 핵위협 수위를 높인 데 대해서도 “관련 보도를 주시하고 있다”며 “우리는 관련국이 현재 정세에서 한반도 및 지역의 평화·안정에 도움이 되는 일을 많이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훙 대변인은 “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 평화·안정 실현,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3원칙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한다”며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국무부의 존 커비 대변인은 14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어떤 도발적 행위를 할지, 북한이 언제 로켓을 발사할지 미리 추측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재로선 북한의 로켓 발사를 기정사실화하기보다는,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외교적 협상 여지를 조금이라도 열어둘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커비 대변인은 ‘평화적 목적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것’이라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선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인공위성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 미뤄볼 때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 유엔 안보리가 빠른 시간 안에 소집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 워싱턴/성연철 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