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무장경비원이 7일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큰 피해를 입은 뉴올리언스의 한 주민소개 지역에서 경계태세를 취하고 있다. 뉴올리언스/AP 연합
전염병 확산 공포
시 “계엄령 선포할수도”…복구비 천정부지
재난관리국 축소한 부시에 비판 거세져
전염병 확산과 가스 유출 우려로 미 뉴올리언스 시민 전체에 강제소개령이 내려졌으나, 상당수 주민들이 집을 떠나길 거부하고 있어 행정당국에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허리케인 피해가 커진 책임을 규명하기 위한 상·하 양원 합동 조사위 구성에 공화·민주당이 합의한 가운데,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공방이 치열해지고 있다. 책임론에 대한 국민 의견도 정치적 성향에 따라 갈리는 국론분열 양상도 나타난다.
주민 강제퇴거 고민=시 경찰국장인 에드윈 컴패스 3세는 7일(현지시각) “질병과 화재 가능성 때문에 뉴올리언스에선 살 수 없다”며 “필요하다면 계엄령이라도 선포해 주민들을 강제퇴거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수천명의 주민들은 자진해서 나가겠다고 말했다”면서 “경찰력 동원은 최소한도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뉴올리언스 빈민가엔 물이 빠지지 않았는데도 흑인주민 1만여명이 아직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민 앤서니 차보넷(86)은 문을 걸어ㅜ잠근 채 “내 평생 집을 떠나본 적이 없다. 나는 떠나길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고 <에이피통신>이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일부 주민과 경찰 또는 군인들 간에 보기 사나운 충돌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책임론 공방 치열=상·하 양원은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상·하원 합동의 초당적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허리케인 피해가 커진 경위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가장 공격을 많이 받고 있는 인사는 마이클 브라운 연방재난관리국(FEMA) 국장인데, 허리케인 엄습 때 브라운이 마이클 처토프 국토안보부장관에게 대규모 인력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밝혀져 처토프 역시 난처한 처지에 빠졌다. 브라운은 허리케인이 상륙할 때인 지난달 29일 처토프에게 보낸 서한에서 “(피해 복구를 위해) 최소한 1천명의 국토안보부 직원을 이틀 내에 현지에 배치하고 2000명을 추가로 1주일 내에 배치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연방재난관리국을 국토안보부 산하로 편입시킨 조지 부시 대통령의 결정이 자연재해 대처능력을 떨어뜨렸다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이날 공개된 <시엔엔>·<유에스에이투데이>·갤럽 공동 여론조사에선, 부시 대통령의 허리케인 대응이 ‘좋았다’는 응답(35%)보다 ‘나빴다’는 응답(42%)이 많이 나왔다. 그러나 공화당원의 2/3 이상이 ‘좋았다’고 평가한 반면, 민주당원의 2/3 가량은 ‘나빴다’고 대답해 책임론 공방이 국론분열로 번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치솟는 복구비용=조지 부시 대통령은 이날 의회에 걸프만 복구를 위한 추가자금 518억달러 승인을 요청했다. 미 의회는 이미 105억달러의 복구자금을 승인한 바 있다. 그러나 공화당 상원지도자인 빌 프리스트는 이날 복구와 구호작업에 드는 비용이 1천억달러에서 2천억달러에 달할지 모른다고 밝혔다. 연방재난관리국(FEMA)은 허리케인으로 피해를 입은 모든 가구에 생필품 구입을 위해 2000달러짜리 직불카드를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미 의회 예산국은 허리케인 피해로 하반기 미 경제성장률이 0.5~1% 포인트 가량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몇달간 일자리가 40만개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현재 전세계 95개국에서 10억달러 상당의 지원을 미국에 약속했지만, 미국쪽에서 제때 응답이 오지 않아 구호인력 파견이나 물자 지원이 지연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치솟는 복구비용=조지 부시 대통령은 이날 의회에 걸프만 복구를 위한 추가자금 518억달러 승인을 요청했다. 미 의회는 이미 105억달러의 복구자금을 승인한 바 있다. 그러나 공화당 상원지도자인 빌 프리스트는 이날 복구와 구호작업에 드는 비용이 1천억달러에서 2천억달러에 달할지 모른다고 밝혔다. 연방재난관리국(FEMA)은 허리케인으로 피해를 입은 모든 가구에 생필품 구입을 위해 2000달러짜리 직불카드를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미 의회 예산국은 허리케인 피해로 하반기 미 경제성장률이 0.5~1% 포인트 가량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몇달간 일자리가 40만개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현재 전세계 95개국에서 10억달러 상당의 지원을 미국에 약속했지만, 미국쪽에서 제때 응답이 오지 않아 구호인력 파견이나 물자 지원이 지연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