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기간 군복무 땐 봉사단서 근무 가능 추진
봉사단 “활동 순수성과 단원안전 위협” 반발
봉사단 “활동 순수성과 단원안전 위협” 반발
미 국방부가 신병 모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정 기간 군에 복무하면 나머지 복무기간을 평화봉사단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 중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고 2일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1961년 창설된 뒤 미국 정부기관과 일정 거리를 두어왔던 평화봉사단쪽은 “활동의 순수성을 해칠 뿐 아니라 봉사단원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군복무 자원자들이 3년~3년반 정도 현역 또는 예비역으로 근무한 뒤 나머지 4~5년을 평화봉사단에서 일하도록 하는 방안은 2003년 존 매케인 상원의원(공화) 등의 발의로 이미 입법화됐다.
국방부는 그동안 이 방안에 소극적이다가, 이라크전 수렁으로 군복무 자원자 숫자가 급감하자 최근 이 방안을 적극 홍보하며 신병 모집에 나서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이 방안이 예정대로 실행되면 2007년부터는 군 출신 평화봉사단원들이 탄생할 전망이다.
그러나 개디 바스케즈 평화봉사단장은 “군 출신들이 평화봉사단원으로 지원해도 이들에게 우선권을 주지는 않겠다”며 국방부 방침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 시절인 1961년 창설된 평화봉사단은 그동안 저개발국가에서 인도적 봉사활동을 펼치면서 미국의 긍정적 이미지를 심는 데 큰 구실을 해왔다. 초기 단장을 맡은 케네디의 매부 사전트 슈라이버는 정보기관원의 봉사단 근무를 거부하며 독립성을 유지하려 애썼다고 <워싱턴포스트>는 평가했다. 현재는 전세계 73개국에서 7733명의 평화봉사단원이 일하고 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