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나치 전범에 도피처” 들통난 미국의 ‘위선’

등록 2010-11-15 20:08수정 2010-11-15 20:09

NYT, 법무부 보고서 입수 공개
CIA 등 조직적으로 부역자 활용
미국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와 나치 부역자들에게 미국내 도피처를 제공하는 등 전쟁범죄 단죄에 비협조적이고 이중적 태도를 보여왔음을 확인시켜주는 보고서가 공개됐다.

<뉴욕타임스>는 14일 미 법무부가 4년간 조사결과를 비밀로 해왔던 6백여쪽의 보고서를 입수해 “박해받은 사람들의 피난처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해 온 미국이 가해자들에게도 피난처가 됐다”고 폭로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1979년 나치 추방을 위해 신설된 미 법무부 특별수사국에서 활동한 법률가와 역사학자, 수사관들의 활동을 담은 것으로, 법무부는 7년간의 조사 끝에 2006년 보고서를 완성하고도 공개를 거부해왔다. 미 법무부는 지난달 민간 연구기관인 ‘국가안보문서’의 소송 제기 압박에 못이겨 법률적·외교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삭제한 채 공개했다.

보고서를 보면, 미 중앙정보국(CIA)은 전후 첩보활동을 위해 나치를 이용한 차원을 넘어 일부 나치들의 전력을 알고서도 미국 입국을 허용했고, 미 항공우주국(NASA)은 이들을 고용하기도 했다. 특히 악명높은 나치 전력자 가운데 20여명에 대한 새로운 증거도 포함돼 있다.

유대인 학살을 주도한 아돌프 아이히만의 부하인 오토 폰 볼슈빙은 중앙정보국에 협조하다가 전력이 문제되자 1981년 추방됐다. 미텔베르크 탄약공장에서 강제노동을 주도했던 나치과학자 아더 루돌프는 로킷 전문가라는 이유로 미국의 국가이익 차원에서 1945년 미국 입국 및 항공우주국 근무가 허용돼 ‘새턴로킷의 아버지’중 한 사람이 되기도 했다. 또 법무부가 삭제했던 부분에는 나치가 유대인들로부터 강탈한 금을 스위스 정부가 사들였다는 증거를 미 정부가 포착했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미국에 입국한 나치 및 나치 부역자는 그동안 알려졌던 1만명보다 약간 적은 숫자인데, 특별수사국의 활동으로 300명 이상의 시민권이 박탈돼 추방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1.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2.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3.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4.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전쟁 반대…푸틴 감옥 가길” 러 가수, 압수수색 받다 추락사 5.

“전쟁 반대…푸틴 감옥 가길” 러 가수, 압수수색 받다 추락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