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법 등 압력
“국내문제 관심 외부 전환” 비판도 미국의 보수적인 기독교복음주의 그룹들이 낙태나 동성결혼 같은 국내 이슈에서 벗어나 최근엔 조지 부시 행정부의 외교정책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가 1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기독교복음주의 세력이 관심을 쏟는 외교 사안으로 △중국 등의 종교자유 문제 △국제적 인신매매 △수단 내전과 함께 북한 인권 문제를 꼽았다. 지난해 미 의회를 통과한 북한인권법안은 미국 내 한국인과 보수적 기독교인들의 압력에 의해 제정됐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도 지난 14일 <평양 수족관>이란 책을 쓴 강철환씨 사례를 소개하면서 “텍사스 등의 보수적인 교회를 중심으로 강씨 책을 읽는 붐이 일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복음주의 단체들은 강씨가 미국 교회들을 순회강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와 달리 복음주의 단체들이 외교정책에 적극 개입하는 데엔 냉전 종식 이후 인권 문제에 대한 이들의 관심이 깔려 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는 분석했다. 이 신문은 “민주주의 확산을 포함해, 복음주의 세력들은 최근 미 행정부 정책을 새롭게 탈바꿈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빌 클린턴 전임 행정부 시절에 진보적인 목회자들이 행정부 고위관리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처럼, 지금은 복음주의 기독교 지도자들이 백악관의 고위관리들을 만난다는 것이다. 복음주의 단체들은 때로는 목표를 위해 과거 적대적이었던 진보단체들과 손을 잡기도 한다. ‘보수적 기독교인들’이란 단체는 지난 11일 주요 선진국들이 가난한 나라들을 위해 적어도 400억달러의 이상의 부채 탕감에 합의하도록 압력을 넣었다. 이런 운동은 주로 진보 단체들이 주도하던 일이었다. 그러나 활동영역의 확대는 복음주의 세력 내부에 긴장을 야기하고 있다. 교계 일부에선 최근의 영역확대가 낙태·동성결혼 등 국내 핵심 이슈들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데 활용되고 있다며 비판하는 소리가 나온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는 밝혔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국내문제 관심 외부 전환” 비판도 미국의 보수적인 기독교복음주의 그룹들이 낙태나 동성결혼 같은 국내 이슈에서 벗어나 최근엔 조지 부시 행정부의 외교정책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가 1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기독교복음주의 세력이 관심을 쏟는 외교 사안으로 △중국 등의 종교자유 문제 △국제적 인신매매 △수단 내전과 함께 북한 인권 문제를 꼽았다. 지난해 미 의회를 통과한 북한인권법안은 미국 내 한국인과 보수적 기독교인들의 압력에 의해 제정됐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도 지난 14일 <평양 수족관>이란 책을 쓴 강철환씨 사례를 소개하면서 “텍사스 등의 보수적인 교회를 중심으로 강씨 책을 읽는 붐이 일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복음주의 단체들은 강씨가 미국 교회들을 순회강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와 달리 복음주의 단체들이 외교정책에 적극 개입하는 데엔 냉전 종식 이후 인권 문제에 대한 이들의 관심이 깔려 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는 분석했다. 이 신문은 “민주주의 확산을 포함해, 복음주의 세력들은 최근 미 행정부 정책을 새롭게 탈바꿈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빌 클린턴 전임 행정부 시절에 진보적인 목회자들이 행정부 고위관리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처럼, 지금은 복음주의 기독교 지도자들이 백악관의 고위관리들을 만난다는 것이다. 복음주의 단체들은 때로는 목표를 위해 과거 적대적이었던 진보단체들과 손을 잡기도 한다. ‘보수적 기독교인들’이란 단체는 지난 11일 주요 선진국들이 가난한 나라들을 위해 적어도 400억달러의 이상의 부채 탕감에 합의하도록 압력을 넣었다. 이런 운동은 주로 진보 단체들이 주도하던 일이었다. 그러나 활동영역의 확대는 복음주의 세력 내부에 긴장을 야기하고 있다. 교계 일부에선 최근의 영역확대가 낙태·동성결혼 등 국내 핵심 이슈들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데 활용되고 있다며 비판하는 소리가 나온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는 밝혔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