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는 11일 북핵 검증의정서에 합의하지 못하고 6자 회담이 결렬된 것과 관련해 대북 에너지 지원 지연 등 이후 조처를 고려할 것임을 시사했다.
데이나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협력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문서화하려고 하지 않아 회담이 후퇴했기 때문에 ‘행동 대 행동’(의 원칙) 일부에 대해 재고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돌아오는 대로 다음 조처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분명히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는 에너지 지원”이라고 밝혀 대북 중유 지원에 대한 조처 가능성을 시사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검증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우리의 의무에 있어서 검증의정서 합의가 있을 때까지 진전을 보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미국 쪽 의무사항인 대북 중유 지원이 미뤄질 수 있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백악관과 국무부 대변인은 테러지원국 재지정 가능성은 부인했다.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해제는 법과 사실에 근거를 두고 취해진 조처”라며 “북한이 테러지원국 해제와 관련된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북핵 검증의정서 합의안 도출 실패를 테러지원국 재지정과 연계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북한이 중국 쪽 초안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서명하기를 원치 않은 것”이라며 회담 결렬이란 표현 대신 “연기된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수석대표들이) 각자 본국으로 돌아가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을 지속하게 될 것”이라며 “미국과 다른 당사국 간의 협의조정 메커니즘이 계속 유지될 것”이라며 “그런 중간기간이 얼마나 길지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부시 행정부 임기 내에 6자 회담이 끝난 것은 아니다”라며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북한의 대응을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