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오바마·구글·유튜브 창업자… X세대 제국이 건설되고 있다”

등록 2008-04-18 20:24

’…세상을 구하다’ 출간…“개인 획일화·파편화 모두 극복”
여행 도중 만난 청춘남녀의 사랑을 다룬 1995년 영화 <비포선라이즈>와 9년 뒤 속편 <비포 선셋>의 주인공, 검색엔진 ‘구글’과 동영상사이트 ‘유튜브’, 인터넷서점 ‘아마존’을 만든 사람들,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최초로 흑인 대통령이 될 수도 있는 버락 오바마(46) 상원의원. 이들이 속한 세대는?

정답은 ‘엑스(X)세대’다. 90년대 인구에 회자됐던 이 용어가 최근 미국 사회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오바마의 당선 가능성이 특정 ‘세대’에 다시 초점을 맞추게 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문화평론가 제프 고디너(41)는 얼마전 펴낸 <엑스가 세상을 구하다>에서 엑스세대의 활약상을 집중 조명했다고 시사 주간 <타임>이 최근 보도했다.

엑스세대는 65~77년에 태어난 이들을 가리키지만, 60~82년생으로 넓게 정의되기도 한다. 현재 20대 후반에서 40대까지다. 미국 사회에서 이들은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와 자녀들인 ‘새천년(밀레니엄) 세대’ 사이에 끼어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대략 8천만명, 새천년 세대가 7800만명인 데 비해, 엑스세대는 약 4600만명에 지나지 않는다.

아래위 세대는 인구가 많아 늘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었지만, 엑스세대는 그렇지 못했다. ‘모호함’‘즉흥성’ 등으로 묘사되던 엑스세대 문화는 생명력이 약해, 엑스세대가 힘없이 사라질 것이란 예상도 많았다.

하지만 엑스세대의 ‘기초체력’은 탄탄하다는 게 고디너의 설명이다. 이들은 80년대 말 증시 붕괴와 90년대 닷컴 거품 붕괴 등을 정면으로 통과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획일적인 문화에 반발해 추구해온 문화적 다양성도 잃지 않았다.

구글, 유투브 등은 엑스세대가 구축한 찬란한 ‘제국’이다. 엑스세대의 산물인 웹 문화는 지금 모든 세대의 문화적 공통분모로 떠올랐다. 고디너는 “음반가게나 중고할인매장 등의 옛 문화는 디지털로 부활했다”며 “새천년 세대는 마이스페이스 같은 엑스세대의 창작물 속에서 자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