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맡고 있는 강영우 박사(사진=연합뉴스)
국내에 편지 보내…“나도 안마 배워 자격증 따, 미국선 맹인에게 사업독점권 줘”
한국 출신 시각장애인 1호박사로, 현 부시 미행정부 차관보를 맡고 있는 강영우 박사가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을 주도록 한 것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최근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강 차관보 자신은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기전 한국 서울맹학교 중·고등부에서 안마시술법을 배운 뒤 자격증을 취득한 ‘공인 안마사’이기도 하다.
강영우(62) 박사는 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로 유엔 세계장애위원회 부의장을 맡고 있다. 강 박사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 헌재 결정과 관련한 편지를 보내, 헌재의 결정을 미국 등의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비판하며 대체입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18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에 따르면 강 박사는 한기총에 보낸 편지를 통해 “근 반세기 동안 실시해온 성공적 정책에 대해 헌재가 대체입법을 만들 수 있는 시간적 여유도 없이 위헌결정을 내린 것은 이해하기 곤란하다”며 “현 제도를 유지하면서 정안인(正眼人)들에게 스포츠 마사지 등 제한된 분야를 허용하는 대체입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박사는 “정책이 위헌의 소지가 있다면 그 정책을 실시하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대체 입법을 만들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었어야 했다”면서 “같은 나라의 헌법재판소가 3년 간격으로 같은 문제에 대해 합헌과 위헌이라는 양극의 판결을 한 것을 국제사회가 어떻게 생각하게 될 것인가”라며 비판했다.
강 박사는 이어 “한국은 장애인 행동 계획에 따라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하면서 국가원수가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을 수상한 나라”라며 “그러나 최근 맹인들이 한강에서 투신을 시도하는 사태를 지켜보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특히 “미국 헌법에도 평등권이 명시돼 있으나 국가 정책으로 연방 정부 건물 내에서 시각장애인들만 스낵코너를 운영하게 하고 고속도로상에서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등의 특권을 부여하고 있다”며 “이번 판결은 미국에서 장애인 정책을 개발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추천하는 입장에서 볼 때 이해하기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강영우 박사는 중학교 때 실명했으나 힘든 학업 끝에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해 한국 출신 시각장애인 최초의 박사가 되어, 백악관과 유엔의 고위직에 올라 장애인 정책을 이끌고 있는 입지전적 인물이다.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그는 특히 “미국 헌법에도 평등권이 명시돼 있으나 국가 정책으로 연방 정부 건물 내에서 시각장애인들만 스낵코너를 운영하게 하고 고속도로상에서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등의 특권을 부여하고 있다”며 “이번 판결은 미국에서 장애인 정책을 개발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추천하는 입장에서 볼 때 이해하기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강영우 박사는 중학교 때 실명했으나 힘든 학업 끝에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해 한국 출신 시각장애인 최초의 박사가 되어, 백악관과 유엔의 고위직에 올라 장애인 정책을 이끌고 있는 입지전적 인물이다.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