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위크 “김정일, 후진타오에 체제위기 토로”
미국은 지난 2월 북한 위조달러 수사 칼날을 중국 국영 중국은행(뱅크 오브 차이나)에까지 겨눠, 중국 쪽을 긴장시켰다고 시사주간 <뉴스위크>가 3일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미국 정부가 당시 중국은행의 작은 홍콩지점에, 북한산으로 추정되는 최대 270만달러 규모 위조화폐의 유통을 중지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중국은행은 지난해 9월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가 ‘북한 돈세탁 의심처’로 지목됐을 때도 이 은행과 함께 의혹의 눈길을 받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북한 사정에 밝은 한 외교소식통은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미국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를 친 건 중국 금융체제에 경고를 보내려는 뜻이 있다. 금융에서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는 미국의 제재를 중국은 무서워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또 2001년 조지 부시 1기 행정부가 출범한 직후에 이미 북한의 ‘불법 행동’에 압박을 강화해 나간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이 잡지는 “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 재무부, 국무부 등 수많은 미국 정부기관들이 3년 동안 북한의 방대한 암시장 네트워크를 차단하는 데 함께 노력해 왔다. 이는 지난 10여년간 아시아 조직범죄에 대한 비밀조사로는 최대 규모”라고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 관리는 “지난 4년 동안 세계에서 압수한 100달러짜리 위폐가 총 4800만달러에 이른다”고 말했다.
<뉴스위크>는 “미국 관리들은 (북한 금융거래를 겨냥한) ‘표적 제재’가 매우 효과적이라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 한 보기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지난 1월 중국 방문 때 후진타오 주석에게 “우리 금융거래에 대한 미국의 단속 압박 아래선 (북한) 체제가 붕괴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실제로 방코델타아시아가 계좌동결 조처를 취한 지 몇 주 뒤 북한 특사가 마카오를 방문해 자금을 풀어줄 것을 요구했으나, 마카오 당국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잡지는 미국 관리들의 말을 빌려 “방코델타아시아의 50여 동결계좌 가운데는 북한 고위급으로 추정되는 인사의 계좌 9개가 포함됐다. 이 계좌들이 김정일과 직계그룹의 개인사업에 활용되는 것으로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