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월15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를 만나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제다/AFP 연합뉴스
2015년 이후 자문역 등의 명목으로 외국 정부 돈을 받아온 퇴역 미군이 고위직을 중심으로 5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일자리들의 3분의 2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의 걸프 지역 왕정 국가들이나 북아프리카에 집중됐다.
<워싱턴 포스트>는 18일(현지시각) 미국 국무부를 상대로 정보공개 소송을 내 입수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퇴역 미군 고위직들이 외국 정부에서 자문역 등의 일자리를 따내는 관행이 광범위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이들 중 심각한 인권 문제를 안고 있고, 최근 석유 감산을 주도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경고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계약한 이들이 가장 눈에 띈다. 사우디 정부를 위해 일하도록 허가를 받은 전직 미군은 25명이며, 이 중 예비역 장성이 15명이다. 사우디 국방부 자문역으로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제임스 존스, 조지 W. 부시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가안보국(NSA) 국장을 지낸 키스 알렉산더 등 최고위급 전직 장성들이 포진해 있다.
특히 사우디는 37만5천명이 사망한 예멘 내전에 개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군 퇴역자들의 역할을 놓고 의문이 제기된다. 미국은 예멘 내전에서 많은 민간인 살상에 책임이 있는 사우디에 군사동맹이라는 이유로 정보와 병참 등 군사원조를 제공하고 무기를 팔아왔다. 사우디 국방장관은 2018년 자국 출신의 비판적 언론인으로 미국에서 활동해온 자말 카슈끄지의 살해 배후로 지목된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다. 카슈끄지 살해 사건 뒤로도 미군 공군 대장과 아프가니스탄 주둔군 사령관 출신이 사우디 국방부 자문역으로 기용됐다. 사우디와 함께 예멘 내전에 개입하는 아랍에미리트연합 정부에서도 다수의 전직 미군이 일자리를 얻었다.
중동 쪽에서 돈을 받는 퇴역 장성들은 다수가 미국이 이곳에서 치른 ‘테러와의 전쟁’ 참여한 이들이다. 일부는 현직일 때 취업 여부를 타진했다. ‘테러와의 전쟁’이 미군 고위직들에게 노후 보장 수단이기도 했던 셈이다. 이들은 대부분 현지에서 근무하지 않고 미국에서 자문비 명목의 돈을 받는다.
신문은 외국 정부를 위해 일하는 퇴역 미군들은 연간 수십만달러를 받는 경우가 많고, 백만달러 단위를 챙기는 이들도 있다고 전했다. 현직 4성 장군의 연 기본급은 그보다 훨씬 못 미치는 약 20만달러다. 퇴역자들은 컨설팅 업체를 차려 외국 정부와의 계약을 추진하기도 했다. 해군 퇴역 장교 몇명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에서 1천만달러짜리 자문 계약을 따냈다. 전직 국방부 관리와 장교 6명은 카타르 정부에 2360만달러짜리 계약을 제안했다. 한 공군 예비역 장성은 아제르바이잔 정부와 일당 5천달러에 자문 계약을 맺었다.
<워싱턴 포스트>는 퇴역자가 외국 일자리를 얻으려면 직무상 알게 된 비밀 유지 등을 위해 미군과 국무부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95%가 통과했다고 전했다. 또 신고하지 않고 걸프 국가들을 위해 일하는 퇴역자들도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