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8년 4월26일 촬영 사진. 대한제국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왼쪽 두번째), 당시 서기관이었다가 2대 공사가 되는 이하영(오른쪽 첫번째 갓 쓴 이) 등의 모습이 보인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제공
조선의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과 3대 공사 이완용 등이 조지 워싱턴의 사저인 마운트버넌을 방문해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2일(현지시각) 마운트버넌의 워싱턴도서관 소장 자료들 중 1888년과 1889년 주미 조선공사관 관원들의 방문 기념사진 2장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887년 설치된 주미 조선공사관 관원들의 활동은 그동안 그림과 문서로만 전해져왔는데 사진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888년 4월26일 촬영 사진에는 초대 공사 박정양, 무관 이종하, 수행원인 화가 강진희, 서기관 이하영(2대 공사)이 나온다. 미국인들이 뒤에 몰려 있는 것으로 봐 이들의 방문이 큰 관심을 끈 듯하다. 박정양의 문집 <미행일기>에는 “워싱턴의 옛집을 보았다”며 방문에 대해 묘사한 대목이 있다.
1889년 5월6일 촬영 사진. 당시 공사관 참찬관이었던 이완용(오른쪽 첫번째 갓 쓴 이)이 부인과 함께 서 있다. 가운데는 공사관 서기관으로 있던 호러스 앨런이다. 왼쪽 첫번째는 2대 공사 이하영이고, 그 오른쪽에는 당시 서기관으로 4대 공사가 될 이채연이 부인과 함께 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제공
1889년 5월6일 촬영한 사진에는 공사관 참찬관이던 이완용 부부가 등장한다. 이완용은 그 전해에 박정양이 마운트버넌을 찾았을 때는 일시 귀국길에 오른 상태라 동행하지 못했다. 대표적 친일파인 이완용은 당시에는 친미파였다. 공사관 서기관이었던 호러스 앨런과 그 딸도 보인다. 의사이기도 한 앨런은 선교사로 조선에 발을 디뎠고, 고종에게 건의해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 광혜원을 설립하도록 한 인물이다. 앨런은 나중에 대한제국 주재 미국공사가 됐다가 1905년 을사조약 후 미국으로 돌아갔다. 이들의 마운트버넌 방문 사실은 이튿날치 미국 신문 <이브닝 스타>가 보도했다.
이번 사진 발굴에 대해 한철호 동국대 교수는 “고종의 지시로 미국 현지의 사정, 제도, 문물 등의 실상을 파악하던 박정양 공사 일행의 활동 모습이 사진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워싱턴의 대한제국공사관 복원에 참여했던 김종헌 배재대 교수도 “박정양이 문집에서 조지 워싱턴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마운트버넌 방문을 중요하게 서술한 것은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한 노력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이 초대 대통령에서 퇴임하고 말년을 보낸 마운트버넌은 버지니아주의 포토맥 강가에 있는 플랜테이션 농장으로, ‘건국의 아버지’인 그를 기리는 역사적 유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